'9000억'..3월 실업급여 지급액, 역대 최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달 구직급여 지급액이 9000억원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의 여파로 일자리를 잃은 사람이 급증한 것이 원인이다.
고용노동부가 13일 발표한 '고용행정통계로 본 3월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구직급여 지급액은 8982억원으로, 작년 동월(6397억원)보다 2585억원(40.4%) 급증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쿠키뉴스] 한전진 기자 = 지난달 구직급여 지급액이 9000억원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의 여파로 일자리를 잃은 사람이 급증한 것이 원인이다.
고용노동부가 13일 발표한 '고용행정통계로 본 3월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구직급여 지급액은 8982억원으로, 작년 동월(6397억원)보다 2585억원(40.4%) 급증했다. 지난 2월 세운 역대 최대 기록(7819억원)을 한 달 만에 경신했다.
구직급여는 정부가 실업자의 구직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고용보험기금으로 지급한다. 일정 기간 이상 고용보험에 가입한 사람이 구직급여를 받을 수 있다. 고용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자영업자, 특수고용직(특고) 종사자, 프리랜서 등은 지급 대상에서 제외된다.
지난달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는 15만6000명으로, 작년 동월(12만5000명)보다 3만1000명(24.8%) 증가했다. 업종별로 보면 개인병원을 포함한 보건·복지업(3만5000명), 제조업(1만9000명), 건설업(1만6000명), 도·소매업(1만5000명), 학원 등 교육서비스업(1만5000명) 등에서 많았다. 코로나19 사태의 직격탄을 맞은 업종들이다.
노동부는 "지난달 구직급여 지급액이 대폭 증가한 데는 신규 신청자 증가가 일부 영향을 미쳤지만, 대부분은 구직급여 지급 기간 연장과 지급액 상향 조정 등 생계 보장 기능을 강화한 데 따른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 사태로 지난달 고용보험 가입자 수의 증가 폭도 약 16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고용보험 가입자는 지난달 1375만7000명으로, 작년 동월보다 25만3000명(1.9%) 증가하는 데 그쳤다. 전년 동월 대비 증가 폭으로는 2004년 5월(23만7000명) 이후 가장 낮았다. 고용보험 가입자의 월별 증가 폭이 30만명을 밑돈 것도 2018년 3월 이후 2년 만에 처음이다.
ist1076@kukinews.com
Copyright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번엔 상속세 개편…대선 밑그림 그리는 李
- [단독] 헌법재판소, ‘한덕수 탄핵심판’에 한동훈 증인 채택 고심
- 11차 전기본 운명의 날…에너지 산업 파급력에 정부·업계 ‘촉각’
- 한덕수 탄핵·권한쟁의 심판, 오후부터 본격 시작
- ‘생수’ 취수원 같은데 가격은 천차만별…브랜드 값에 속는 소비자
- 리볼빙 이용고객 70% 이상 ‘최고금리’ 적용…98% 넘는 곳도
- 故 김새론 발인…유족·지인 눈물 속 잠든 ‘천재 아역’
- 김문수 “퇴역군인 수차례 계엄 얘기…軍 장악 문제로 불가능”
- 美트럼프 “자동차 관세 25% 정도 될 것…4월 2일에 발표”
- 안철수, 조기 대선 출마 시사…“플랜B 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