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빛내리 교수팀, 코로나 바이러스 '유전자 지도' 완성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코로나19의 원인인 '사스 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코로나19 바이러스)의 유전자 지도를 완성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RNA 연구단 김빛내리 단장·장혜식 연구위원 연구팀과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공동 연구팀이 사스 코로나바이러스-2의 유전자 지도를 완성했다고 9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 연구진이 코로나19의 원인인 '사스 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코로나19 바이러스)의 유전자 지도를 완성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RNA 연구단 김빛내리 단장·장혜식 연구위원 연구팀과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공동 연구팀이 사스 코로나바이러스-2의 유전자 지도를 완성했다고 9일 밝혔다.
RNA(리보핵산)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숙주 세포에 침투해 유전정보가 담긴 RNA(유전체 RNA)를 복제한다. 이와 함께 다양한 하위 유전체 RNA를 생산한다.
이들 하위 유전체는 바이러스 표면의 스파이크 단백질을 합성해 세포를 감염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이처럼 숙주세포 안에서 생산된 유전체 RNA와 하위 유전체 RNA 등을 모두 합쳐 '전사체'라 부른다.
연구팀은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을 통해 숙주세포 내에서 생산되는 코로나19 바이러스 전사체를 모두 분석, 수십여종의 RNA를 발견했다.
또 최소 41곳에서 RNA에 화학적 변형이 일어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RNA 변형은 인체의 선천적인 면역 체계를 회피하기 위해 바이러스가 일으키는 반응이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화학적 변형이 일어나는 위치를 확인해 바이러스 치료제 후보물질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또 '나노포어 직접 RNA 염기 분석법'을 활용해 2만9900개의 유전정보가 담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유전체 RNA를 절단하지 않고도 통째로 분석하는 방법을 찾아냈다고 밝혔다.
김빛내리 단장은 "이번에 사스 코로나바이러스-2 전사체의 정량을 모두 파악했으며, 이를 토대로 유전자 증폭검사 진단 시간을 단축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생명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 '셀'(Cell)에 게재됐다.
- Copyrights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비말감염vs공기감염, 뭐가 다를까?
- 침 등 물방울, 타인 입·코로 들어가면 '비말감염'.. 공기에 떠다니다 호흡기로 침입하면 '공기감염'
- 바이러스 차단 목걸이? 살균제 흡입하는 꼴.. 마스크 재사용 괜찮나? '햇볕 살균' 의견도
- 바이러스 두려운 요즘, 면역력 강화법 4가지 알아두세요
- 화장실 다녀온 10명 중 3명 손 안 씻어 '세균 득실'
- "손 세균 제거 효과, 비누가 가장 탁월"
- 바이러스 예방, 손 소독제 vs 물로 손 씻기.. 승자는?
- 비누 VS. 손 소독제 VS. 물티슈.. 세균 제거 효과 가장 좋은 것은?
- 뚱뚱한 사람, 바이러스 감염 더 취약하다?
- 바이러스 권위자 김우주 교수 "신종 코로나, 악수로도 전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