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의료원, 충북대 공동연구팀 세계최초 코로나19 동물실험 모델구축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연구소와 충북대학교 의과대학(미생물학교실 최영기 교수) 코로나19 공동연구팀이 동물 모델을 이용해 인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병인기전 및 전파양상을 검증, 재현하는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족제비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감염 및 빠른 전파력 연구(Infection and Rapid Transmission of SARS-CoV-2 in Ferrets.)란 제목으로 3월 31일(화) 생명과학계의 획기적인 실험 결과와 최신생물학 동향 등을 게재하는 '셀 프레스(Cell press)' 자매지인 'Cell Host & Microbe ,숙주와 미생물'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연구소와 충북대학교 의과대학(미생물학교실 최영기 교수) 코로나19 공동연구팀이 동물 모델을 이용해 인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병인기전 및 전파양상을 검증, 재현하는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족제비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감염 및 빠른 전파력 연구(Infection and Rapid Transmission of SARS-CoV-2 in Ferrets.)」란 제목으로 3월 31일(화) 생명과학계의 획기적인 실험 결과와 최신생물학 동향 등을 게재하는 '셀 프레스(Cell press)' 자매지인 'Cell Host & Microbe ,숙주와 미생물'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공동연구팀은 지난 2월초 코로나19 국내 감염 환자의 호흡기 검체로부터 분리한 코로나19 바이러스(NMC-nCoV02)를 인체 폐구조와 유사한 동물인 패럿에 주입했다. 이후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해 호흡기, 소화기 등 다양한 체내 조직에 전파되는 양상을 확인했다.
패럿에 주입된 코로나19 바이러스는 감염 2일째부터 비강 분비물 뿐 아니라 혈액이나 다른 체액 분비물에까지 확산, 검출되었고 4일째부터는 인체 감염 때 나타나는 고열, 기침, 활동량 감소 등과 같은 본격적인 임상 증상으로 발현됐다.
이번 연구는 감염된 패럿이 본격적인 임상 증상을 드러내지 않던 2일째부터 같은 공간에서 생활한 다른 패럿 6마리가 감염됨을 실증한데 큰 의미가 있다. 코로나19 전파양상과 관련하여 전파속도, 잠복기감염 등을 실험동물 모델을 통해 과학적으로 재현한 것이다.
동물실험으로 구축된 모델은 코로나19 백신이 개발될 경우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쓰여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출시될 치료 약제 개발 및 효과를 확인하는데도 큰 도움을 줄 것이라는 점에서 의학계의 큰 기대와 주목을 받고 있다.
- Copyrights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9일까지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 연장 ..집에서 소독은 '이렇게'
- 코로나19 위험 큰 20대 흡연자..사이토카인 폭풍 주의
- 대구 20대 확진자도 '사이토카인 폭풍'..젊은 층 위협
- 대구 17세 소년 최종 음성 판정.. '사이토카인 폭풍'이 원인일까?
- 코로나19 바이러스 '뇌 손상' 유발..사이토카인 폭풍 때문
-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로 우울할 때..효과적인 해소법
- "지금부터 2주가 중요..코로나19 잠재우려면 '사회적 접촉' 최소화"
- 혹시 나도 코로나19의 '조용한 전파자'?
- 독감 양성이면 코로나19 아니다? "동시 감염 가능"
- 갑자기 생긴 '후각 상실', 코로나19 증상일 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