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태조 이성계의 능만 봄에 미리 벌초할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건원릉(健元陵)은 원래 태조(이성계)의 뜻에 따라 (자신이 활약하던) 북쪽(함흥)의 청완(억새)을 봉분 덮는 풀로 썼기 때문에 지금까지도 다른 능과는 달리 풀이 매우 무성하였습니다. 대신들은 다른 사초(풀)를 쓰더라도 무방하다고들 하였습니다."
병자호란이 있기 7년전인 1629년 3월 묘역 관리 업무를 맡는 신하가 임금에게 태조 이성계의 묘의 풀이 여느 능과 달리 억세고, 주변의 잡목 뿌리가 침노한다고 아뢰자, 임금은 억새를 쓴 뜻이 유지하되 잡목을 제거하라고 명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헤럴드경제=함영훈 기자] “건원릉(健元陵)은 원래 태조(이성계)의 뜻에 따라 (자신이 활약하던) 북쪽(함흥)의 청완(억새)을 봉분 덮는 풀로 썼기 때문에 지금까지도 다른 능과는 달리 풀이 매우 무성하였습니다. 대신들은 다른 사초(풀)를 쓰더라도 무방하다고들 하였습니다."
병자호란이 있기 7년전인 1629년 3월 묘역 관리 업무를 맡는 신하가 임금에게 태조 이성계의 묘의 풀이 여느 능과 달리 억세고, 주변의 잡목 뿌리가 침노한다고 아뢰자, 임금은 억새를 쓴 뜻이 유지하되 잡목을 제거하라고 명한다.
임금은 또 한식(寒食)에 쑥뿌리 등을 제거할 때 나무 뿌리까지 뽑아버리지 않고 나무가 큰 뒤에야 능 전체를 고치려고 하다니 그는 매우 잘못된 일이라고 지적하며 태조왕릉의 예초시기를 봄 한식으로 못박았다.
이 능에 관한 기록물인 건원릉지에는 ‘한식 때 으레 사초(억새)를 자르면 여름에 새싹이 돋아 나오고 가을에 이삭을 맺으며 서리가 내릴 때에 시들었다’고 기록돼 있다.
이성계의 능은 억새를 써 봉분을 가렸다는 점에서 다르다. 풀이 억세다 보니 봄에 반드시 잘라줘야 했다. 봄에 미리 풀을 말끔히 깎아주면 가을엔 어차피 시들어버리니 조금만 다듬으면 되는 것이, 태조 이성계 능의 특징이었던 것이다. 이 의례는 이제 문화재가 됐다.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본부장 나명하)는 오는 5일 한식을 맞아, 구리 동구릉(사적 제193호) 내 건원릉 봉분을 덮고 있는 억새를 자르는 ‘청완 예초의’를 진행한다. 올해는 예년과 달리 코로나19 예방과 확산 방지 차원에서 일반시민 참여 없이 약식(略式)으로 진행된다.
2010년부터 매년 한식날에 일반 시민들과 함께 억새를 베는 ‘청완 예초의’는 봉분의 억새를 베는 ‘예초의(刈草儀)’, 1년간 자란 억새를 제거했음을 알리는 ‘고유제(告由祭, 중대한 일의 이전이나 이후에, 일에 대한 사유를 고하는 제사)’, 고유제가 끝난 다음 제향음식을 나누어 먹는 ‘음복례’(飮福禮) 순으로 진행된다.
한편 문화재청은 현재 궁궐과 왕릉 관람객의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해 궁궐과 왕릉 안내해설을 2월 8일부터 중지하고 있으며, 전 직원 마스크 착용과 특별 방역을 시행하고 있다.
abc@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휘성, 수면마취제 투약 직전 직거래 모습 CCTV 공개
- 오프라 윈프리의 '통큰' 기부..코로나19 극복 위해 122억원
- 조인성, 무릎 통증 시술.."곧 퇴원 예정"
- 일본 코로나 신규확진자 276명 연일 최다..총 3483명
- 구혜선 "전시 준비중..8kg 빠졌다"
- [단독]삼성 美 사우스캐롤라이나 공장, 코로나 확진자 2명 발생..가동 중단
- '前카라' 강지영, 음주운전 차량에 교통사고 당해
- "트럼프, 코로나19로 2주간 자산 1조2천억원 날아가"
- 황교안 "키 작은 사람" 발언.. 신체 비하 vs 말꼬리잡기
- '지구촌 정상화' 언제? 6월 희망 얘기하고 8월 행사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