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5지진 지열발전 공동연구단, 다양한 연구 성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1·15 포항지진 관련 정부조사연구단 발표 이후 1년간 국내·외 전문가 및 11.15지진 지열발전 공동연구단(이하 공동연구단)이 낸 다양한 연구 활동 성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23일 공동연구단에 따르면 정부조사연구단에 참여했던 국내·외 전문가들은 2019년 한 해 동안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및 지진학연구소식지 등에 관련 연구를 발표해 타당성을 입증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3일 공동연구단에 따르면 정부조사연구단에 참여했던 국내·외 전문가들은 2019년 한 해 동안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및 지진학연구소식지 등에 관련 연구를 발표해 타당성을 입증했다.
지난해 12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된 AGU(미국지구물리학회) 학술발표회에서 다양한 국가 및 기관 연구진들과 포항지진의 교훈에 관해 공감대를 형성했다.
AGU에 모인 국내·외 전문가들은 오는 11월 15일 포항지진 3주년을 전후해 포항시에서 대규모 유발지진 국제 포럼을 개최하는 방향에 대해 논의하기도 했다.
공동연구단은 정부조사연구단에 대한 시민들의 우려를 불식시키고자 국내 처음으로 재난에 대응하기 위해 2018년 5월에 조직된 시민 중심 연구단이다.
자체 연구 조사를 통해 정부조사연구단과 협력·협조 체제를 이어가는 동시에 견제 역할을 수행해왔다.
공동연구단은 지난 1년간 포항지진의 원인, 경과 및 위험성 등의 정보를 알리기 위해 ‘2019 포항지진 2주년 국제심포지엄(무시된 경고음과 교훈)’을 개최했다.
공동연구단은 정부조사연구단 연구 범위 밖에 있던 심부지열발전소(EGS) 연구개발사업 개시 전 과거 연구 과정 및 포항지진 이후 발표된 연구 문헌들을 전수 조사해 정부조사연구단에 준하는 연구 결과를 제시한 바 있다.
공동연구단은 포항 EGS 실증 연구 조사 과정에 참여한 연구진의 비윤리적 행위를 밝혀내고, 해당 기관 연구진실성위원회에 조사를 요청하기도 했다.
포항지진특별법이 통과된 이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포항지진피해구제법 및 하위법령 제정 과정에 의견을 제시하고, 공정한 진상 조사와 피해 구제를 위한 위원회를 구성할 수 있도록 법제처 및 포항시에 적극적으로 의견을 제출하고 있다.
향후 공동연구단은 포항지진특별법에 따른 위원회에 협조 및 견제 업무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포항지진특별법과 시행령에 대한 검토 결과를 시민설명회 개최 등을 통해 지역사회와 공유할 예정이다.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 노컷뉴스 영상 구독하기
[포항CBS 김대기 기자] kdk@cbs.co.kr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급증하는 유럽發 코로나19 환자 유입..정부 "미국도 예의주시"
- 끊이지 않는 中통계 불신 ..'확진자 100명 이상' 소문에 서둘러 불끄기
- 선거철마다 정치권에 줄댄 신천지..이번에도 정치권 기웃
- 주호영 "생지옥 만든 文정부, 왜 대구시민 공 가로채나?"
- '선 넘지마' vs '나 이런 사람이야' 北美 친서정치 재개
- IOC "도쿄 올림픽 연기 포함, 세부적 논의 시작할 것"
- 김부겸 "코로나 대구 확산이 문재인 탓? 권한은 대구시"
- 지뢰밭 금융시장, 대책 쏟아지는데 효과는?
- [뒤끝작렬] 꼼수가 원칙을 완패시키나..총선에 달렸다
- 전광훈 교회 '집회금지' 명령..정세균 "엄포 아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