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춘천시 강원교육청에서 한 초등학교 돌봄전담사들이 돌봄교실 내 코로나19 안전지침 마련을 촉구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27일 춘천시 강원교육청에서 한 초등학교 돌봄전담사들이 돌봄교실 내 코로나19 안전지침 마련을 촉구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교육당국이 개학 연기에 따른 ‘돌봄 공백’을 메우기 위해 긴급돌봄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지만 예상보다 학부모들의 신청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돌봄교실의 운영시간이 짧다 보니 주요 이용 대상인 맞벌이 부부에게 긴급돌봄서비스가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27일 경북교육청에 따르면 지난 24~26일 3일간 수요 조사를 한 결과 유치원은 200곳 1123명, 초등학교는 174곳 778명이 긴급돌봄서비스를 신청한 것으로 집계됐다. 경북 지역의 전체 유치원생 3만3908명 중 3.3%만 긴급돌봄서비스를 신청한 셈이다. 초등학생은 전체(12만9114명)의 0.6%만 이 서비스를 신청했다. 다른 지역의 긴급돌봄서비스 신청률도 비슷한 수준으로 알려졌다.

교육부는 긴급돌봄서비스의 수요 조사가 전날 끝났지만 신청 규모는 공개하지 않았다. 오히려 일선 교육청에 외부로 통계 수치를 제공하지 않도록 했다. 서울교육청 관계자는 “26일로 수요 조사가 끝났지만 교육부에서 수요 조사 결과를 공개하지 말라고 요청했다”고 말했다. 경기교육청 관계자 역시 “교육부가 담당 부서에 수요 조사 결과를 밝히지 말라고 연락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긴급돌봄서비스는 교육당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지역사회 확산을 막기 위해 개학 연기를 결정하면서 발생하는 돌봄 공백을 메우기 위해 도입한 서비스다. 하지만 돌봄교실의 종료 시간이 오후 1~4시로 직장에 다니는 학부모는 사실상 이용하기 어려워 ‘탁상행정’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식사를 제공하지 않는 학교가 대부분이라 점심 도시락을 챙겨 보내야 한다는 점도 학부모에게는 부담이 됐다는 지적이다.

서울 송파구에서 초등학생 자녀를 키우는 한 학부모는 “회사 퇴근시간이 오후 6시인데 오후 2시에 끝나는 돌봄교실이 무슨 도움이 되겠느냐”며 “학원도 문을 닫은 상황에서 아이를 맡길 곳이 없어 답답하다”고 토로했다.

박종관/정의진 기자 pj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