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고령자 밀집 시설, 코로나 바이러스 유입 주의해야"
중앙임상TF 기자회견 "장기입원 면역저하 환자 치사율 20% 넘을수도"
우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환자와 고령자가 밀집한 병원·요양원 같은 시설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바이러스 유입을 막는데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는 감염병 전문가들의 지적이 나왔다.
우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의 주치의를 비롯한 국내 감염병 전문가 모임인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중앙임상TF)’는 26일 국립중앙의료원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코로나19 관련 사망자 11명 중 7명은 청도대남병원 폐쇄병동의 장기 입원 환자로 폐 기저질환을 앓고 있었고 오랜 투병으로 인해 전반적인 건강 상태가 불량한 상태에서 코로나19로 인한 폐렴이 급속도로 진행해 사망에 이르렀다"며 "입원시설에서의 바이러스 유입 차단에 가장 먼저 신경을 써야한다"고 말했다.
위원회는 또한 "대남병원 외 사망환자 역시 만성신부전 등으로 건강상태가 불량했던 것으로 추정되고, 폐 등 기저질환과 불량한 건강상태(면역력 저하)가 코로나19 감염 후 질병의 급속한 진행과 악화의 주요 원인으로 추정된다"라고 밝혔다.
위원회는 "현재로서는 코로나19의 감염, 기저질환 악화, 사망 사이의 연관성이나 인과관계를 추정하기 어렵지만 면역기능이 떨어지는 환자와 고령자들이 밀집해 생활하는 병원이나 요양원 등에 바이러스가 유입되지 않도록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며 특히 이 같은 환경에서 일하는 의료진 등의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위원회는 면역기능이 떨어진 정신질환 환자의 경우, 사망률이 더 높아질 우려가 있다면서 장기입원으로 면역 기능이 저하된 경우 연령과 상관없이 치사율이 20% 이상까지 높아질 우려가 있다고 진단했다.
정신과보호병동의 경우, 창문과 출입구가 닫혀있어 자연환기가 어렵고 공동생활 공간에서 24시간 같이 지내므로 밀접 접촉이 많은 환경이다. 환자가 마실 위험이 있어서 곳곳에 손소독제 등을 배치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위원회는 "정신병원 폐쇄 병동의 경우, 특성상 자연환기가 어려워 집단 감염 우려가 있다"며 "집단감염 예방에 대한 향후 대책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위원회는 이날 ‘코로나19’ 치명률을 낮추려면 이런 시설을 중점 관리하는 것 외에 의료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증상이 가벼운 환자는 자가격리 치료로 전환하고, 폐렴이 있거나 중증인 환자의 경우 2차·3차 의료기관에서 치료하는 게 효과적일 것이라고 제안했다. 이 밖에 심각한 환자는 인공호흡기 치료가 가능한 의료기관으로 배정해 사망률을 낮춰야 한다고 권고했다.
위원회는 "대구·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대규모 환자가 발생하고 있어 효율적인 정보 취합과 중증환자 관리를 위한 시스템 대응이 시급하다"면서 "질병관리본부와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는 전자 임상사례기록 시스템을 개발하고 전국의 해당 의료기관이 웹기반 정보시스템에 실시간 임상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준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럼프, 상호관세 유예 연장 가능성에 “그때 가서 보자”
- 17세 치어리더, 갑자기 “숨을 못 쉬겠다”…그 원인은 ‘전자담배’
- “셰플러가 셰플러했다”… 보기 없이 버디 4개로 2연패 순항
- 손흥민, 유로파리그 8강 1차전 ‘평점 5’… “제대로 활약하지 못했다”
- “나는 날씬하다”…뇌를 속였더니, 살이 쫙 빠졌다
- [Minute to Read] Justice minister returns as South Korea court rejects removal
- [C컷] 외국인 노동자들의 고단한 현실
- “관세 폭탄 한국 증시 거의 바닥 왔다, 2가지 주식에 돈을 던져라”
- 변비 해소와 뼈 건강을 위해 신이 보낸 선물, 100% ‘푸룬’즙 특가 공구
- 혼자 먹기 딱 좋은 닭다리 삼계탕, 1인분 4550원 특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