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코로나19(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자료사진./ 사진=김휘선 기자 hwijpg@ |
23일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기준 확진 환자는 556명으로 증가했고, 사망자도 4명으로 늘었다. 정부는 지난달 4일부터 중국 후베이성을 14일 내 방문했거나 체류한 외국인의 입국을 금지하고 있다. 다만 정부는 중국 전역으로 입국금지 조치를 내리는 데에선 신중한 모습이다.
하지만 코로나19에 대한 불안감이 전국적으로 커지면서 중국인 입국금지가 불가피한 상황이라는 데 무게가 실린다. 청와대 온라인 홈페이지 국민청원 게시판에 올라온 '중국인 입국금지 요청' 참여자가 지난 22일 76만 명을 넘겨 마감됐다.
중국 유학생들이 다음 달 개강을 앞두고 속속 입국하고 있다는 점도 불안감을 키운다. 지역사회 감염이 확산된 가운데 중국인 유학생까지 유입되면 혼란을 키울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교육당국에 따르면 국내에 체류하는 전체 중국인 유학생 7만여명 중 2만 여명이 입국했다. 앞서 교육부는 중국 유학생 우려에 각 대학에 3월 신학기 개강 시기를 4주 이내에서 조정할 것을 권고했었다.
주요 대학 중 관련 의료인력을 갖춘 곳도 거의 없다. 한국대학교수협의회는 중국 유학생 1000명 이상이 등록한 국내 17개 대학 중 상주 의사는 연세대 서울 캠퍼스와 단국대 용인캠퍼스 두 곳에만 있다. 다른 곳들은 간호사 1~3명이 전부다.
정부가 다소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정치권에선 거센 비판의 목소리가 나온다. 야당은 정부의 초기대응 미흡을 지적하며 이제라도 중국인 입국금지를 전면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황교안 미래통합당 대표는 앞서 "(중국에 대한) 입국 제한을 미룰 수 없다"며 "중국 전역을 방문한 외국인의 입국제한 조치를 즉각 강화할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감염이 발생한 제3국으로부터의 입국도 강력히 제한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와 여당은 중국인 입국금지에 여전히 신중한 입장이다. 국제 정세와 현재 방역상황에선 다소 시기상조란 판단이다. 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국제적인 기준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잘라 말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엇갈린다. 대한의사협회는 지난달부터 26일부터 6차례에 걸쳐 성명을 통해 “중국으로부터의 전면적인 입국 금지 조치 등 가능한 모든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최대집 의사협회 회장은 “대국민담화를 통해 중국 전역을 입국금지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지속적으로 건의해왔다”고 했다.
반면 대한감역학회 등 국내 감염병 관련 학회 11곳이 모인 '범학회 코로나19 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에서 신형식 국립중앙의료원 감염병센터장은 "입국제한 이전에 이미 많이 들어와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불필요했다고 본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