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기고] 감염병, ‘원헬스’ 관점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관련이슈 기고

입력 : 2020-02-03 23:25:26 수정 : 2020-02-03 23:25:23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무섭게 퍼지고 있다. 중국에서 시작한 이 바이러스는 국내 확진환자 15명을 비롯해 아시아, 북미, 유럽, 오세아니아 대륙으로 기세를 펼치고 있다.(3일 기준, 질병관리본부) 우리나라는 지난달 27일 감염병 위기단계를 경계수준으로 상향하였고, 세계보건기구(WHO)도 같은 달 30일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선포했다.

이 새로운 바이러스는 2002년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와 2015년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와 마찬가지로 박쥐에서 발원하여 중간 숙주를 통해 인간에게 전염된 것으로 추측된다. 20세기 이후 발생한 신종 감염병의 75% 이상이 야생동물에서 유래하였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즉 신종 감염병을 예방·통제하는 데 있어 단순히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만을 고려하는 기존의 방식에는 한계가 있음을 나타낸다.

손미원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자문위원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는 지난해 11월 의결한 ‘체계적인 감염병 대응을 위한 연구개발 고도화 방안’ 자문안에서 ‘원헬스(One Health) 관점의 감염병 대응체계 구축’을 중요 정책 방향으로 제언한 바 있다. ‘원헬스’는 사람과 동물, 환경의 건강이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동물과 환경에 대한 적절한 감시와 대응을 통해 감염병 조기 진압 및 미연의 방지가 가능하다고 보는 접근법이다. WHO와 미국 질병관리본부(CDC)에서는 몇 년 전부터 원헬스 관점의 보건위생 정책을 강조하고 있다.

원헬스 관점의 대응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보건복지부와 산하 질병관리본부, 농림축산식품부와 산하 농림축산검역본부, 환경부, 산림청 등 다양한 부처 간 정보 공유 및 공동 연구 등을 통해 긴밀한 협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보건위생 및 축산 관련 부처의 실무자들도 원헬스적 접근이 중요하다는 점에 대해서는 공감하고 있으나 현실에서는 부처 간 칸막이와 예산 부족 등의 이유로 실질적인 부처 간 협력이 다소 미흡한 상황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사람·가축·야생동물·식물을 포괄하는 다부처 연계 공동 연구프로젝트 추진을 통해 부처 간 협력을 촉진하고 의사, 수의사, 환경전문가 등 민간 전문인력 간 교류·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또한 특정 부처가 보유한 연구시설 및 장비를 공동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질병관리본부에서 운영 중인 국내 유일의 생물안전등급(Biosafety level) 4 실험실을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등 동물 감염병 바이러스 연구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그리고 감염병통합정보시스템, 야생동물질병정보시스템 등 현재 부처별로 각각 운영 중인 정보시스템 간 데이터 연계를 강화하고 장기적으로 시스템 통합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런 방안들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예산과 인력이 추가로 필요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러나 감염병은 국가 안보와 직결되는 중대 사안이며 원헬스 관점의 선진화된 감염병 대응체계 구축을 통해 장기적으로는 전체 감염병 통제비용을 낮출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국내의 몇 되지 않는 감염병 전문가들이 공통적으로 지적한 문제점은 감염병이 창궐한 직후에 관련 예산이 급증했다가 이후 슬그머니 줄어드는 정책의 일관성 부족임을 유념하고 같은 잘못이 반복되지 않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손미원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자문위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한지민 '우아하게'
  • 한지민 '우아하게'
  •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