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 같은 겨울 고마워"..한라산 생표고버섯 수확 한창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예년보다 따뜻한 겨울 날씨 탓에 작목에 따라 농가들의 희비도 엇갈린다.
한라산 원목 표고는 매년 가을철과 다음해 봄철에 두 번 정도 수확한다.
한라산에서 재배되는 참나무원목 표고버섯은 저온성으로 9월부터 이듬해 5월까지 수확한다.
표고버섯이 겨울철에도 휴양기가 없이 계속 생산되면서 신선한 생표고 버섯을 맛볼 수 있게 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면역력 높여주는 베타글루칸·비타민D ↑..대식세포 활성화
[제주=좌승훈 기자] 예년보다 따뜻한 겨울 날씨 탓에 작목에 따라 농가들의 희비도 엇갈린다. 마늘·양파·보리 등은 평년보다 훨씬 웃자라 갑자기 한파라도 몰아치면 언 피해를 볼 수 있다. 병해충이 죽지 않고 겨울을 날 수 있어 병충해 방제 약제를 평년보다 앞당겨 살포해야 한다. 반면 시설재배 농가들은 난방비가 적게 들고 생산량이 늘어 웃고 있다.
한라산 국유림 원목 표고재배장 재배농가들도 올 겨울 이상고온 효과를 톡톡히 누리고 있다. 여느 해와 달리 생표고 수확이 한창이다.
한라산 원목 표고는 매년 가을철과 다음해 봄철에 두 번 정도 수확한다. 올해는 겨울철 기온이 오르면서 겨울철 휴식기 없이 계속 수확이 이뤄지고 있다.
평균기온을 웃도는 따뜻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산속에서 자연 재배하는 표고버섯에도 영향을 줬다. 한라산에서 재배되는 참나무원목 표고버섯은 저온성으로 9월부터 이듬해 5월까지 수확한다. 버섯이 잘 자라는 적정온도는 6~15도이다. 기온이 낮아지거나 높아지면 균의 활동이 둔해져 일반적으로 겨울철 1~2월과 여름철 6~8월 휴양기에 해당한다.
제주도내 표고버섯 생산량은 연간 250톤(건표고 50톤·생표고 200톤)이 생산되고 있다.
표고버섯에 함유된 베타글루칸과 비타민D는 바이러스 등 병원체에 저항하는 대식세포를 활성화시켜 감기에 도움을 주며, 혈압을 낮추고 당뇨병 예방에도 효과적인 자연식품이다.
표고버섯이 겨울철에도 휴양기가 없이 계속 생산되면서 신선한 생표고 버섯을 맛볼 수 있게 됐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지난해 제주대학교 친환경농업연구소에서 제주표고버섯 공동브랜드와 상품디자인 5종을 개발한 가운데 소매용·공판용 박스와 쇼핑백·스티커 등 제주표고 생산 판매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jpen21@fnnews.com 좌승훈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월 맞아? 제주날씨 '도깨비'..낮 기온 23도에 태풍급 강풍
- '박성광 아내' 이솔이, 암투병 고백 후 사망 루머 "어떻게 해야할지"
- "아내가 다른 남자와 성관계" 숨소리도 녹음해 '외도 의심'…도 넘은 '의처증 남편' [헤어질 결심]
- 20세 최연소 사시 합격자, 8년 다닌 김앤장 그만두고 선택한 길은?
- “이재명 아들 아니야” 李캠프, ‘도봉역 벤츠 난동’ 허위정보 유포 고발한다
- 日 배우, 실종 3개월 만 숨진 채 발견…"정신질환 앓고 행방불명"
- 예비 신랑, 결혼 앞두고 장모와 잠적…드라마 같은 막장
- '빚 150억' 임채무, 과거 '18평 아파트' 직원 26명에게 선물하기도
- '결혼 12일 만에 파경' 이민영 "공백기 고스톱으로 7조 모아
- 사강, 암 의심·자궁내막증 수술 고백…"故남편이 알려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