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직 발령나도 법과 원칙대로"…靑·여당 공격에 결의 다지는 檢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장관 임명 후 내달 앞당겨 인사할 듯
'윤석열 학습효과'에 "한직도 훈장"여겨
'제2국정원 댓글 사건' 조짐
또다른 적폐될라 직권남용 직무유기 조심하는 檢
'윤석열 학습효과'에 "한직도 훈장"여겨
'제2국정원 댓글 사건' 조짐
또다른 적폐될라 직권남용 직무유기 조심하는 檢

장관 임명후 내달쯤 인사 전망
ADVERTISEMENT
"전두환때도 이런 식의 수사방해는 없었다"
최근들어 청와대와 여당의 공개적인 검찰 비판이 늘고 있다.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검찰을 절대로 가만두지 않겠다"고 발언했고, 이인영 민주당 원내대표도 검찰에 대한 감찰을 촉구했다. 검찰이 개혁에 저항하는 것이라고도 했다.
ADVERTISEMENT
대다수 검사들은 검찰 개혁에 동의하지만 최근 일련의 개혁 중에는 의도가 순수하지 못한 측면도 있다고 보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분류되는 조 전 장관 수사때 ‘특수부 폐지’, ‘피의사실공표 금지’, ‘법무부 감찰권 강화’ 등이 추진 된 것은 수사팀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것이어서 검찰 내부의 불만도 크다. 지역에서 근무하는 다른 검사는 “문재인 정부 초기 적폐수사 과정에선 특수부를 오히려 늘리고 강화했는데 조국, 유재수 사건 등이 터지자 특수부를 없애겠다고 한다”고 지적했다. 법무부는 최근 선거를 담당하는 공안부 등 검찰의 41개 직접 수사 부서를 폐지하겠다는 방안을 문재인 대통령에게 보고해 논란이 되고 있다.
'제2국정원 댓글 사건'에 달라진 생존방식
ADVERTISEMENT
지난 2013년 박근혜 정부 당시 청와대가 국정원을 동원해 선거에 개입한 사건인 ‘국정원 댓글 사건’에서 수사팀장은 윤석열 현 검찰총장이 맡았고, 부팀장은 박형철 현 청와대 반부패비서관이 맡았다. 당시 청와대는 정권 치부를 수사했다는 이유로 윤 총장을 3년간 대구고검, 대전고검 등 한직으로 발령냈고, 박 비서관은 감봉 1개월 징계를 내렸다. 하지만 이들은 정권이 바뀌면서 화려하게 복귀했다. 윤 총장은 문재인 정부 출범 후 선배 기수를 4~5기수 건너뛰면서 서울중앙지검장, 검찰총장으로 파격 승진을 거듭했다. 박 비서관 역시 청와대 요직으로 왔다. 반면 당시 정부의 지시에 따랐던 검사들은 대부분 수사나 재판 대상이 됐다.
검찰 한 관계자는 “청와대, 여당 등의 요구대로 검찰개혁은 당연히 해야하겠지만 현 정권 실세들의 비위 의혹에 대해선 결코 그냥 넘어갈 수 없다”며 “특히 김기현 하명수사 의혹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대통령 탄핵사유에 해당할 수도 있는 중대한 범죄이기 때문에 엄중하게 들여다볼 것”이라고 했다.
안대규 기자 powerzanic@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