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노조가 지난 11일부터 사흘간 진행했던 파업(쟁의행위) 찬반투표를 통해 오는 20일부터 무기한 총파업에 들어가기로 했다.

지난 10월 서울역에서 열린 철도노조 총파업 서울지방본부 결의대회에 참가한 한 노조원이 손팻말을 들고 있다.

철도노조는 13일 "지난 11일부터 이날까지 이어진 파업 찬반투표에 전체 2만 1121명 조합원 가운데 90.9%(1만9194명)가 참여, 59.3%(1만1379명)의 찬성으로 파업을 가결지었다"고 밝혔다. 반대는 7453표가 나왔다. 재적 조합원 대비 찬성률은 53.9%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철도노조는 오는 20일 첫 차부터 무기한 총파업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 경우 고속철도를 비롯한 전국 철도는 물론, 1호선과 3호선 등 수도권 지하철 일부 구간에서 운행 차질을 빚을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노조는 오는 15일엔 총파업 기자회견과 함께 안전운행(준법) 투쟁도 벌일 예정이다. 준법 투쟁은 법규를 지키면서 사용자에게 손해를 끼치는 노동쟁의 방법으로, 파업의 아래 단계다. 노조는 이날 ‘점검 철저’ ‘속도 준수’ ‘정시 출고’ 등의 안전운행 지침을 내렸다.

철도노조는 ‘임금정상화’와 ‘안전인력충원’ ‘노·사·전문가 합의이행’ ‘KTX-SRT 통합’ 등을 요구하고 있다. 조상수 철도노조 중앙쟁의대책위원장은 "철도노동자의 4대 요구는 공공기관 적폐 청산과 주 52시간 근무제, 비정규직 정규직화 정책에 따른 노사 합의와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을 이행하라는 상식적인 요구"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