빼빼로데이, 올해는 조용~~~왜?

정혜윤 기자 2019. 11. 6. 15:0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는 예년에 비해 너무 조용하다.' 빼빼로데이 이야기다.

하지만 올해는 빼빼로데이를 전면으로 내세우는 분위기가 아니다.

제과업계 관계자는 "올해는 유통업계에서 빼빼로데이에 집중하지 않는 분위기여서, 예년만큼 대박 매출을 올리긴 힘들 수 있다"며 "빼빼로 대신 초콜릿 등의 제품이 반사이익을 누릴 수 있다"고 말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십여년간 11월 11일은 빼빼로데이를 전면으로 내세워 마케팅을 펼친 게 사실"이라며 "올해는 이와 분위기가 달라졌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유통업체 자체 행사 만들어 홍보..'NO재팬' 움직임과도 무관치 않아 분석
빼빼로데이 명동 스케치 / 사진=뉴스1
'올해는 예년에 비해 너무 조용하다.' 빼빼로데이 이야기다. 분위기가 달라졌다. 유통업계에서 빼빼로데이는 크리스마스, 화이트데이, 밸런타인데이 등과 함께 손꼽히는 대목이었다. 매년 11월 11일 다가오면 편의점, 마트 등 유통업계에서 빼빼로데이 관련 대대적인 이벤트를 시끌벅적하게 진행했다. 길거리에는 빼빼로로 만든 바구니, 인형 등 각종 행사 상품이 배치됐다. 하지만 올해는 빼빼로데이를 전면으로 내세우는 분위기가 아니다. 왜일까.
빼빼로데이가 조용하다?
롯제제과 빼빼로는 매년 1000억원대 매출을 올리는 제과업계 메가브랜드다. 최근 3년간도 1000억원 내외 매출액을 기록했다. 롯데제과에 따르면 지난해 빼빼로 매출액은 950억원으로 이 중 빼빼로데이 시즌(9월~11월 11일)에만 절반에 가까운 47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제과업계 관계자는 "올해는 유통업계에서 빼빼로데이에 집중하지 않는 분위기여서, 예년만큼 대박 매출을 올리긴 힘들 수 있다"며 "빼빼로 대신 초콜릿 등의 제품이 반사이익을 누릴 수 있다"고 말했다.

유통업계에서 올해 빼빼로데이 대신 자체 행사를 만들어 진행하기 시작했다. GS25는 코리아세일페스타 기간에 맞춰 '하나더데이'를 만들었고, CU는 '블랙위크데이', 이마트24는 '스윗데이' 행사를 연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십여년간 11월 11일은 빼빼로데이를 전면으로 내세워 마케팅을 펼친 게 사실"이라며 "올해는 이와 분위기가 달라졌다"고 말했다. 블랙프라이데이, 광군제 등 전 세계적으로 11월을 쇼핑 시즌으로 밀고 있는 만큼, 이에 맞춰 유통업계에서 11월 자체 할인 행사를 만들고 그 안에 빼빼로를 포함하는 형태로 바뀌었다.

이는 'NO 재팬' 움직임과도 무관치 않다는 분석도 나온다. 롯데와 빼빼로가 일본 불매운동 대상 제품으로 거론되면서 유통업계도 이를 무시할 수 없었을 것이란 얘기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일본 불매 운동의 영향이 없을 수 없다"며 "유통업체도 빼빼로데이를 내세워 행사하기 부담스러웠을 수 있다"고 말했다.
빼빼로데이, 1990년대 중반 영남서 시작
롯데제과 '빼빼로'와 일본 에자키글리코 '포키'

빼빼로가 일본 불매 운동의 타깃이 된 건 일본 과자 '포키'와의 표절 논란이 한몫했다. 일본 제과업체인 에자키 글리코가 '포키'를 출시한 건 1966년, 롯데제과가 빼빼로를 선보인 건 1983년이다. 이 때문에 빼빼로가 포키를 본떴다는 논란이 일었다. 하지만 롯데제과에서는 "과자 생김새와 형태가 비슷할 수 있지만 제품을 베껴 만들었다는 건 말이 안 된다"고 일축했다.

2014년에는 디자인 관련 소송도 벌어졌다. 롯데제과가 빼빼로 한정판 제품인 '프리미어'를 출시하자 일본 글리코가 자사 프리미엄 버전인 '바통드로' 상자 디자인을 그대로 베꼈다며 디자인권 침해금지 청구 소송을 냈다. 당시 한국 법원은 제품 형태와 상자 구성이 유사해 글리코 제품을 모방해 제작됐다고 보인다며 글리코의 손을 들어줬다.

그렇다면 빼빼로를 메가 브랜드로 만들게 해준 빼빼로데이는 누가 먼저 시작했을까. 빼빼로데이는 한국이 먼저다. 빼빼로데이는 1990년대 중반 영남 지역 소재 여중생들을 중심으로 '키 크고 날씬해지길 바란다'는 의미로 빼빼로를 주고받는 게 유행이 되면서 입소문이 퍼졌다. 이후 롯데제과와 유통업계에서 마케팅으로 활용하면서 전국적으로 확산됐다.

일본의 '포키와 프렛츠의 날'(11월 11일)은 1999년 시작됐다. 롯데제과 관계자는 "당시 일본 글리코에서 빼빼로데이와 비슷한 이벤트를 열고 싶다며 관련 내용을 문의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서동주 "미국 변호사 초봉 2억2500만원…100억 벌기도"지주연 "작년에 결혼했지만 곧 이혼… 섣부른 선택"한집에 오래사는 미국인들? 속사정은 따로 있다키아누 리브스, 열애설 그랜트와 레드카펫고유정이 머물다 간 펜션 "저희도 말라 죽고 있다"
정혜윤 기자 hyeyoon12@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