빼빼로데이 과대포장과 외면받는 가래떡데이

CBS노컷뉴스 문수경 기자 2019. 10. 28. 15:0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1월 11일은 일명 '빼빼로데이'이자 '가래떡데이'다.

이런 가운데 초콜릿 막대과자를 제조하는 제과업체의 상술과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쌀 소비량이 나란히 도마에 올랐다.

빼빼로데이의 상술이 논란이 되자 일각에서는 "가래떡데이에 우리 쌀로 만든 가래떡에 꿀을 찍어 먹자"고 권유하고 있다.

그러나 가래떡데이는 정체불명의 기념일인 빼빼로데이에 밀려 유명무실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신제품 빼빼로 과대포장, 소비자들 분통
롯데, 빼빼로 1년 매출 중 절반이 빼빼로데이 시즌에 집중
11월 11일은 '가래떡데이' 이기도
1인당 쌀 소비량 50년새 절반 이상 감소
과대포장 논란에 휩싸인 롯데제과 신제품. 사진=트위터 캡처
11월 11일은 일명 '빼빼로데이'이자 '가래떡데이'다.

이런 가운데 초콜릿 막대과자를 제조하는 제과업체의 상술과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쌀 소비량이 나란히 도마에 올랐다.

롯데제과는 빼빼로데이를 앞두고 이달 신제품 '빼빼로 팝'을 출시했다. 하지만 이 제품은 출시되자마자 과대포장 논란에 휩싸였다.

빼빼로 팝을 구매한 한 소비자가 최근 SNS에 공개한 사진에 따르면, 이 제품은 상자 안에 개별 포장된 초콜릿 막대과자가 고작 3개 들어 있지만 소비자가가 1500원으로 책정돼 있다.

다른 빼빼로 제품의 막대과자보다 크고 굵지만, 소비자들은 "포장지를 사니 과자를 선물로 준 격", "과대포장 덕분에 과자를 안 사게 됐다"는 등 공감을 표시하고 있다.

제과업계에 따르면, 롯데제과는 거의 매년 빼빼로데이 시즌(9~11월)을 겨냥해 빼빼로 신제품을 출시한다.

롯데제과 관계자는 28일 CBS노컷뉴스에 "빼빼로는 빼빼로 시즌 매출이 1년 매출의 50%를 차지한다"고 말했다.

빼빼로데이의 상술이 논란이 되자 일각에서는 "가래떡데이에 우리 쌀로 만든 가래떡에 꿀을 찍어 먹자"고 권유하고 있다.

정부는 1996년에 11월 11일을 '농업인의 날'로 지정했다. 10년 뒤인 2006년에는 농업의 날을 알리고, 쌀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가래떡데이를 만들었다.

그러나 가래떡데이는 정체불명의 기념일인 빼빼로데이에 밀려 유명무실하다.

가래떡데이가 소비자에게 외면받는 건, 과거와 비교했을 때 우리 국민의 쌀 소비가 급감한 상황과 맞물린다.

사진=통계청 제공
통계청이 지난 24일 내놓은 '통계로 본 쌀 산업구조 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국민 1인당 쌀 소비량은 61.0kg으로 1970년(136.4kg)보다 75.4kg 감소했다.

통계청은 "지난 30년간(1989~2018년) 쌀 생산량이 연평균 1.3%씩 줄었다. 하지만 소비량은 매년 평균 2.3%씩 감소해 수급 불균형이 지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 노컷뉴스 영상 구독하기

[CBS노컷뉴스 문수경 기자] moon034@cbs.co.kr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