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지옥' 이현욱 "2회 퇴장 아쉬움? 과분한 관심받아..감사"(인터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짧은 등장에 긴 여운이다.
원작의 강렬한 임팩트와 달리 드라마에서는 2회만에 퇴장했지만, '왕눈이'의 존재감은 그가 사라진 뒤에도 여전히 드라마 전체에 감돌았다.
그렇게 그는 '타인은 지옥이다'의 초반 몰입도를 책임지며 강렬하게 등장했다.
변득종(박종환 분)이 일란성 쌍둥이었다는 점, 왕눈이의 캐릭터를 유기혁과 서문조로 분리한 점이 그 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스1) 윤효정 기자 = 짧은 등장에 긴 여운이다. 원작의 강렬한 임팩트와 달리 드라마에서는 2회만에 퇴장했지만, '왕눈이'의 존재감은 그가 사라진 뒤에도 여전히 드라마 전체에 감돌았다. OCN 주말드라마 '타인은 지옥이다'(극본 정이도/연출 이창희)에서 에덴 고시원의 살인마 중 하나였던 유기혁 역으로 분한 이현욱(34) 역시 이같은 '현상'에 놀라워했다.
원작 웹툰의 애독자였다는 그는 유기혁 역할이 가장 자신과 어울린다고 생각했다. 표정이 없으면 서늘한 얼굴에 연한 갈색 눈은 신비롭되 오싹한 기운이 들기도 했다. 그 점이 유기혁이 싸늘한 분위기를 표현해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렇게 그는 '타인은 지옥이다'의 초반 몰입도를 책임지며 강렬하게 등장했다.
분량은 많지 않았다. '타인은 지옥이다'가 왕눈이 캐릭터를 분리하면서다. 제작진은 고시원 캐릭터들에 변화를 주면서 원작과의 차별화를 꾀했다. 변득종(박종환 분)이 일란성 쌍둥이었다는 점, 왕눈이의 캐릭터를 유기혁과 서문조로 분리한 점이 그 예다. 유기혁은 퇴장했지만 시청자들은 강렬한 인상을 남긴 이현욱을 기억했다 .
15일 만난 이현욱은 이같은 반응에 감사하다면서도 일희일비하지 않고 배우로서의 길을 묵묵히 걸어가고 싶다고 했다. 평소에도 입버릇처럼 '이제 시작'이라고 했는데, 이번이야말로 진짜 '시작'인 것 같다면서.
다음은 이현욱과 일문일답.
-'타인은 지옥이다'를 잘 마친 소감은.
▶재미있게 촬영한 작품이었다. 분량에 비해 과분한 사랑을 받았다. 좋기도 하고 고민거리도 많이 생기고 그런 것 같다. 앞으로 나아갈 숙제가 생긴 기분이다. 드라마는 오랜만에 했고 케이블채널은 처음이었고, 완전한 장르물은 처음이어서 내게는 의미가 있다.
-2회에 죽는 역할이어서 시청자들도 많이 놀랐는데 연기하는 입장에서는 어땠나. 아쉽지 않았나.
▶(죽는 걸) 알고는 있었지만 생각보다 빨리 나온 것 같다고는 생각했다. 내가 빨리 죽어서 아쉬운 것보다 긴장감을 더 줘도 될 것 같은데 그 긴장감이 빨리 사라진 것 같다. 살인 장면이 빨리 나왔다는 생각이다. 한편으로는 이동욱 선배가 처음부터 왕눈이 캐릭터로 등장했다면 그것도 다른 매력의 작품이 되지 않았을까 상상도 해봤다. 일단 배우로서 내게는 너무 좋은 기회였다고 생각한다.
-2회 퇴장에도 유기혁이 안 죽은 것은 아닐까 생각도 해봤다.
▶주변에서도 연락이 많이 왔는데 말도 못 했다. 죽었다고 해버리면 극에 대한 흥미를 잃어버릴까봐. 문자가 계속 와서 짜증도 냈다 .(웃음) 친누나도 나는 너가 가족도 속이고 있는 줄 알았다고 하더라. 왜냐하면 제작발표회나 TV 예고편에도 계속 내가 나오니까 끝까지 나올 거라고 생각한 것 같다.
-이미지가 워낙 싱크로율이 높았다. ▶머리나 의상이 원작과 비슷한데, 난 그게 제작진의 배려라고 생각한다. 그런 설정도 없었다면 이 인물은 뭐야? 라고 생각하셨을 것 같다. 이미지는 유기혁이, 왕눈이의 캐릭터는 서문조에게 주어진, 일종의 캐릭터 분리같다. 나는 그런 캐릭터를 할 수 있어서 제작진의 배려였다고 생각한다. 감사한 마음인데 한편으로는 이 캐릭터 분리에 대한 여러 반응이 나와서 제작진이나 이동욱 선배에게 미안한 마음도 든다.
-반응이 뜨거웠다.
▶감사하다. 내가 언제 이런 관심을 받아보나 싶다.
-후반부에 재등장을 기대하지는 않았나.
▶사전 제작 드라마에 가까워서 그러긴 어렵다고 생각했다. 그래도 유기혁의 재등장보다 전사가 나오지는 않을까 기대는 했다. 유기혁이라는 인물도 종우처럼 희망을 가지고 고시원에 왔다가 흑화가 되었다든지.
-가상 캐스팅 목록에도 있었다.
▶(캐스팅) 미팅을 하고 있던 시기에, 연극을 본 한 관객이 왕눈이 역할을 했으면 좋겠다는 이야기를 하신 적은 있었다고 했다. 실제로 채널에서도 가상 캐스팅에 내 이름이 있었다는 이야기도 하시더라. 초반에는 왕눈이 치고는 눈이 너무 작다는 분들도 계셨는데 1, 2회 방송되고서는 웹툰과 비슷하다는 반응이 많이 나왔다고 한다. 나도 방송을 보면서 '오' 했다. (웃음) 유기혁이라는 캐릭터를 좋아해주신 것 같다.
-유기혁처럼 보이기 위해 설정한 부분이 있나.
▶일단 가발이 제일 큰 비주얼적인 변화다. 눈도 웹툰과 같게 하려면 그건 사람의 모습이 아닐 거다.(웃음) 눈을 크게 떠볼까 했는데 그건 좀 작위적일 것 같다. 희한하게 눈꼬리는 비슷해서 내 모습 그대로 했다. 분위기를 더 신경을 많이 썼다. 내가 웃지 않으면 차갑다는 소리를 많이 듣는 편이었다. 그래서 첫인상이 안 좋다는 사람도 있고.(웃음) 그리고 몸 움직임도 현실감이 없게 표현하려고 했다. 팔을 뻗는게 아니라 몸이 같이 기울어지는 식으로.
-인기는 실감하나. 길에서 알아봐도 무서워서 다가오지는 못 할 것 같다.
▶그런 질문을 많이 받았는데 전혀 실감하지 못 한다. 알아보는 분이 있어도 긴가민가하면서 쳐다만 보고 가신다. 가발 착용 여부에 따라 달라지는 것 같다. 재미있다.
-주변 동료들의 반응은.
▶(이)동휘는 아직도 나를 왕눈이라고 부른다. 촬영장에 놀러가서 만나기도 했는데 왕눈이라고 부르더라. 그것도 작품을 잘 보고 있다는 이야기니까 고맙고 재미있다.
<[N인터뷰]②에 계속>
ichi@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