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튬이온배터리 개발·상용화" 공로..노벨화학상에 美구디너프 등 3명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존 구디너프(미국), 스탠리 휘팅엄(영국), 요시노 아키라(일본)가 올해 노벨 화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9일(현지시간) 리튬이온 배터리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해 이들 연구자 3명을 2019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일본 언론은 이날 자국 연구자가 노벨 화학상 수상자로 결정되자 신속히 관련 소식을 전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존 구디너프(미국), 스탠리 휘팅엄(영국), 요시노 아키라(일본)가 올해 노벨 화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9일(현지시간) 리튬이온 배터리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해 이들 연구자 3명을 2019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왕립과학원은 이들의 연구로 가벼우면서도 재충전이 가능한 리튬이온 배터리가 개발됐고, 무선·화학연료 제로 사회의 토대를 마련해 인류의 일상을 혁신했다고 평가했다.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전기자동차 등을 응용 사례로 꼽았다.
수상자 중 구디너프는 현재 97세다. 최고령 노벨상 수상자가 됐다.
일본은 지난해 생리의학상에 이어 2년 연속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다. 지난해에는 혼조 다스쿠 교토대 특별교수가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았다.
일본 언론은 이날 자국 연구자가 노벨 화학상 수상자로 결정되자 신속히 관련 소식을 전했다. 공영방송 NHK는 수상자가 발표되자 먼저 자막으로 신속하게 뉴스를 보낸 뒤 곧바로 정규 방송을 중단하고 속보로 보도했다.
일본 국적자의 노벨상 수상은 이번이 25명째다. 요시노는 화학상을 받은 8번째 일본인으로 기록됐다. 그동안 일본은 물리학상 9명, 생리의학상 5명, 문학상 2명, 평화상 1명을 배출됐다.
일본 출신이지만 다른 나라 국적을 보유한 수상자도 3명이다. 이들까지 포함하면 일본 출신 노벨상 수상자는 28명으로 늘어난다.
일본은 2014년(물리학상), 2015년(생리의학상), 2016년(생리의학상) 3년 연속 노벨상 수상자를 내는 등 최근 꾸준히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고 있다. 2017년에는 일본에서 태어난 영국인 소설가 가즈오 이시구로가 노벨 문학상을 탔다.
송혜영기자 hybrid@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핀테크에 또 규제..국세청, 불필요한 주민번호 수집 강제
- 100% IT인력으로만 운영하는 금융권 IT지점 첫 출범
- "무거운 과일 상자도 거뜬하겠네"..농업과 현대차 기술 만나 웨어러블 슈트 '꿀조합'
- [단독]더코더, '파키스탄 담배세추적시스템사업' 6000억원 수주.. 'DoT'기술로 13파전 승전보
- "리튬이온배터리 개발·상용화" 공로..노벨화학상에 美구디너프 등 3명
- [테크비즈코리아2019]ICT부터 소부장까지..151개 신기술 '사업화 파트너' 만난다
- [테크비즈코리아 2019]정부 출연연 중심 22개 연구 및 지원 기관 참여
- IPTV '홈쇼핑 송출수수료' 의문..가입자 많은데 케이블TV보다 왜 덜 받지?
- 인터보이드, AI 기반 MR게임·보행도우미 출시
- 플라즈맵, 남미와 유럽 시장 진출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