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 화학상 '리튬이온 배터리' 선구자 3명 공동수상(2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의 노벨 화학상은 리튬이온 배터리의 선구자들로 꼽히는 미국, 영국, 일본의 과학자 3명에게 돌아갔다.
굿이너프 박사는 리튬 이온 배터리의 식별 및 개발은 물론 재료의 자기교환의 징후를 결정하는 Goodenough–Kanamori 규칙 을 개발 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요시노 아키라 교수 역시 폴리 아세틸렌을 사용해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에 대한 연구를 시작한 대표적인 리튬 이온 배터리의 발명가로 알려져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9일 올해의 노벨상 화학상 수상자로 △ 고체 물리학자인 존 굿이너프 미국 텍사스대 교수와 △영국 출신 스탠리 위팅엄 미국 빙햄턴 교수, 그리고 △일본 아사히 카세이 주식회사의 연구원이기도 한 요시노 아키라 미에 조 대학 교수를 공동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휴대 전화 및 노트북 컴퓨터에서 자주 사용되는 리튬 이온 배터리를 발명 및 개발해온 과학자들이다.
굿이너프 박사는 리튬 이온 배터리의 식별 및 개발은 물론 재료의 자기교환의 징후를 결정하는 Goodenough–Kanamori 규칙 을 개발 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2014년에는 리튬 이온 배터리에 대한 공헌으로 찰스 스탁 드래퍼상(Charles Stark Draper Prize)을 수상한 바 있다.
위팅엄 교수는 인터칼레이션 전극(intercalation electrode)의 개념을 발견한 리튬 배터리 개발 역사의 핵심 인물로 꼽힌다.
요시노 아키라 교수 역시 폴리 아세틸렌을 사용해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에 대한 연구를 시작한 대표적인 리튬 이온 배터리의 발명가로 알려져 있다.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 노컷뉴스 영상 구독하기
[CBS노컷뉴스 권민철 기자] twinpine@cbs.co.kr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출입국사무소, 토끼몰이 후 시신 발견장소 60m 조작"
- 홍준표 "조국 동생 이어 정경심 영장 기각되면 광화문 마비"
- [Why뉴스] 화성 8차 사건, 왜 진실규명이 어렵다는 말 나올까?
- [단독]연천서 14번째 ASF 확진.."양주에 가족농장 있다"
- [단독]文정부 감사원 수시보고 건수 朴정부 전체 건수와 비슷
- 野, 조국동생 영장기각 맹공.."비정상 극치"
- 트럼프, '터키경제 말살' 경고하면서도 미군철수 입장 유지
- '평화의 소녀상' 작가 부부 "관람, 추첨으로 선발..관람객과 작품에 미안"
- 남해고속도로서 7중 추돌사고..1명 사망·4명 부상
- '이재명 지키기범대위' 보름만에 2천명↑.. 3천427명 發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