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오동전투' 류준열 "독립군 역사, 잊으면 안돼" [인터뷰]
[티브이데일리 김종은 기자] 일제강점기 역사가 주는 아픔 속 일본 정규군을 상대로 거둔 독립군의 첫 승리는 마치 사막의 오아시스 같은 희망을 선사했다. 이 가운데 왼팔에 완장을 차고 있는 배우 류준열의 모습은 더욱이 빛났다.
영화 '봉오동 전투'(감독 원신연 ·제작 빅스톤픽쳐스)는 지난 1920년 6월 독립군이 일본 정규군을 상대로 거둔 첫 대규모 승리 실화를 그린 영화다. 극 중 류준열은 냉철한 이성과 빠른 발을 가진 독립군 분대장 이장하 역을 연기했다.
류준열은 '봉오동 전투'의 대본을 받자마자 흔쾌히 출연을 결정했다고 했다. 원신연 감독의 이전 작품들을 잘 봤고 궁극적인 메시지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시나리오를 받고 안 할 수가 없었다. 이런 영화에 출연 제의를 받고 연기할 수 있다는 자체가 영광스럽다"는 류준열은 "한 명의 영웅이 아닌, 다수의 이름 없는 독립군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배우로서 만족스러운 작품을 만나기가 어려운 데 '봉오동 전투'는 의미 있는 작품이라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강한 의지와 굳건함이 특징인 이장하라는 캐릭터가 마음에 들었다는 류준열이다. 그는 "시나리오에 '비장하고 청명한 눈'을 가진 인물이라고 적혀있었다. 당시 독립군 모두가 그런 눈을 가지고 있지 않았을까 생각이 들었다"고 했다. 이어 "이장하는 정규적인 군사훈련을 받은 맡은 임무를 위해 자신의 목숨쯤은 기꺼이 내걸 수 있는 인물이다. 앞만 보고 임무 수행을 위해 노력하는 모습이 끌렸다"고 덧붙였다.
류준열은 이런 이장하의 군인다움을 표현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했다. 절도 있는 이장하를 연기하려 실제 군인의 모습을 많이 참고했다고 했다. 류준열은 "목표를 위해 앞만 보고 나아가는 이장하를 표현하려 산을 오를 때도 앞만 봤다. 처음엔 발을 헛디디기도 했지만 많이 애를 쓰니 익숙해졌다. 힘들었지만 큰 부상 없이 촬영을 잘 끝낼 수 있었다"며 너스레를 떨기도 했다.
이장하는 개인의 감정에 치중하기보단 원대한 목표를 달성키 위해 나아가는 인물이다. 류준열은 이런 이장하라는 캐릭터에 공감하는 게 가장 어려웠다고 했다. 나라를 잃은 슬픔이 쉽게 느낄 수 있는 감정은 아니기 때문이다. 그는 "배역을 맡을 땐 나라는 사람을 싹 지우고 새로운 캐릭터를 연기하기보단, 내 안의 닮은 점을 속에서 끌어내 키우려고 노력하는 편이다. 하지만 이번엔 나라를 되찾으려는 독립군이기에 공감이 어려웠다"는 고충을 털어놨다.
이후 류준열은 이런 고민을 "나라를 잃은 슬픔을 가족을 잃은 아픔에 결부"시키는 방법으로 해결했다고 했다. 그는 "그제서야 비로소 이장하에 공감해 이 감정을 서툴게나마 흉내 낼 수 있었다"고 했다.
극 중 이장하는 독립군 선봉대에 서서 작전을 진두지휘하기도, 자신의 임무를 위해 미끼 역할을 하기도 했다. 그의 팔에는 대장을 상징하는 완장이 있다. 류준열은 이장하의 왼팔에 묶인 완장에 대해 특별하게 생각한다고 했다. 그는 대장이라는 뜻도 있지만 희생이란 의미도 있는 것 같다고 했다. 특히 이번 '봉오동 전투'에서 리더의 희생은 의미가 크다는 의견이다. 류준열은 "모든 독립군이 대장이라는 마음으로 싸움에 임했을 거다. 내 목숨을 걸고 임무를 완성하겠다는 목표를 가진 점에서 진정한 리더라는 말이 잘 어울리는 것 같다"고 말했다.
분대장 이장하 역을 연기하며 류준열은 '봉오동 전투'를 촬영하며 산을 원 없이 뛰어봤다고 했다. 배우들뿐만 아니라 제작진까지 고생한 현장이었지만, 힘든 촬영 현장에서 가장 체력이 좋았던 사람은 유해진이었다고 했다. 류준열은 "유해진 선배님은 산을 자주 다니던 사람이라 딱 티가 났다. 모든 출연진 및 제작진을 통틀어 체력이 가장 좋았다"고 말했다. "심지어 촬영을 끝내고 집에 돌아가실 때도 걸어가신다. 누군가에게 보이기 위해서가 아닌 진짜 본인이 원하셔서 그런 것"이라고 해 웃음을 사기도 했다.
황해철 역의 유해진, 마병구 역의 조우진 등 '봉오동 전투'에는 다양한 매력을 가진 캐릭터가 등장한다. 그중 완장을 차고 있는 류준열은 누구보다 빛났다. 그러나 "색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싶었는데, 다른 연기자들의 호흡을 따라가게 돼 힘들었다"는 류준열이다. 그는 원신열 감독을 비롯해 다른 배우들과 함께 대화로 해결점을 찾으려 했다. 하지만 "지금 그대로의 이장하가 마음에 든다"는 원신열 감독의 말에 연기에만 집중할 수 있었다고 했다.
'봉오동 전투'는 역사를 그리는 장르다 보니 사료나 고증의 역할이 주요하다. 그러나 원신연 감독과 출연진들은 모두 관련된 사료와 고증이 적었다는 데 입을 모았다. 류준열도 "봉오동 전투에 관련된 자료가 정말 적다. 아쉽게 생각한다"며 공감했다. 이어 "자료의 부족함을 채우기 위해 원신연 감독은 일제강점기 시절 삽화나 사진을 주로 참고했다"고 했다.
제작진의 노고와 배우들의 열연이 빛난 '봉오동 전투'다. 수많은 고충과 노력 끝에 만들어진 영화이기에 류준열은 원신연 감독이 그리려 했던 메시지가 관객들에게도 잘 전달됐으면 했다.
"현실성이 없지만 불과 100년 전에 일어난 일입니다. 그저 쉽게 잊어버릴 수 있는 역사를 그린 작품이 '봉오동 전투'에요. 이번 영화가 그 순간을 오랫동안 기억하고 되새기는 데 도움이 됐으면 좋겠어요."
[티브이데일리 김종은 기자 news@tvdaily.co.kr/사진출처=쇼박스]
류준열|봉오동 전투|인터뷰
[ Copyright ⓒ * 세계속에 新한류를 * 연예전문 온라인미디어 티브이데일리 (www.tvdaily.co.kr)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Copyright © 티브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