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흘간 개 1만 마리가 식탁으로 ..중국 개고기 축제의 씁쓸함

신남식 2019. 7. 3. 13: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더,오래] 신남식의 반려동물 세상보기(29)
복날은 쇠도 녹일 더위에 금(金) 기운이 맥도 못 추고 엎드린다는 말에서 유래했다. 복날의 '복(伏)'자에 개 '견(犬)'자가 있는 것은 복날에 보신탕을 먹으면 기운을 보충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중앙포토]

전 세계적으로 동물복지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반려동물은 가족의 일원으로서 가치를 높이고 있으며 복지 서비스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일부 국가에서는 전통문화라는 이름으로 반려동물의 고기를 먹는다. 동물복지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의 가혹 행위도 일어나고 있다. 한국도 반려동물 식용문제에서는 국제적인 비난을 피해가기 어려우며 사회적인 이슈로도 남아있다.

최근 동물복지에 대한 관심과 반려동물을 대하는 태도의 변화, 동물 관련 단체의 노력으로 식용 인구는 크게 줄었다. 그러나 아직도 일부에선 개고기를 예로부터 영양탕으로 즐긴 전통음식이라 주장한다. 특히 더운 여름철 복날에 몸을 보양하는 데 그만이라는 것이다. 복날의 ‘복(伏)’자에 개 ‘견(犬)’자가 있는 것도 그런 이유 때문이라고 갖다 붙이기도 한다. 그러나 이는 억지에 불과하고 복날과 개는 아무런 연관성이 없다.


복날은 금 기운이 가장 타격받는 날
복날은 금기복장(金氣伏藏) 즉 ‘금(金) 기운이 엎드려 맥을 못 춘다’는 말에서 유래된 것이다. 여름 날씨가 너무 더위서 쇠도 녹일 정도이니 금 기운이 가장 많은 타격을 받기 때문에 힘을 못 쓴다는 것이다. 목화토금수(木火土金水)의 오행(五行)에서 상대의 작용을 억누르고 활동을 하지 못하게 하는 오행상극(五行相剋) 중 화극금(火剋金)이 바로 이의 근거가 된다.

2017년 한 동물보호 단체가 서울 서초구 유명 보신탕집 앞에서 개식용 반대 캠페인을 벌이는 모습. 동물복지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개고기에 대한 찬반이 뜨겁다. 한국의 경우 일명 '보신탕'이라고 불리는 개고기 식용으로 오랫동안 국제적인 비난을 받고 있다. [중앙포토]

십간(十干) 중에 경(庚)은 금(金)을 나타내기에 더위가 한창일 때의 경일(庚日)을 복날로 정한다. 태양이 가장 북쪽으로 위치하는 하지(夏至)가 지난 뒤 세 번째 경일을 초복(初伏), 네 번째 경일을 중복(中伏)이라 한다. 말복(末伏)은 가을의 문턱인 입추(立秋)가 지나고 첫 번째 경일로 정했다. 따라서 올해는 하지가 6월 22일이기 때문에 7월 12일(庚戌)이 초복, 7월 22일(庚申)이 중복, 8월 11일(庚辰)이 말복이 된다.

복날에 몸을 보양하는 음식은 기운이 억눌린 경일에 힘을 나게 해주는 것이 필요하다며 먹어오고 있는 것뿐이다. 경일 기운이 엎드린다는 복날의 ‘복’자를 개 ‘견’자와 연관시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반려동물의 식용문화는 선진국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식용금지는 국제사회의 요구이며 거스를 수 없는 현실이다.

매년 중국 남부의 광시(廣西) 성 위린(玉林) 시에서 하지를 기점으로 열리는 개고기 축제엔 수년 전부터 세계의 동물보호단체와 동물애호가들의 비난이 집중되고 있다. 위린 시는 예부터 하짓날에 개고기를 먹는 관습이 있다. 2009년에는 시 정부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이 축제를 지역의 공식 행사로 지원하기도 했다.

중국의 한 여성이 도살한 개를 싣고 이동하고 있다. 중국 남부의 광시성 위린시는 개고기 축제를 개최한다. 개를 도살하는 과정이 비윤리적인 경우가 많아 동물보호단체의 비난을 받고 있다. [AP]

축제가 열리는 10일간 1만 마리의 개가 죽임을 당한다고 한다. 그 수도 많지만, 도살 과정은 생명체로서의 가치가 무시되는 잔인한 방법이 일반적이다. 올해도 이러한 충격적인 실상이 각종 매체를 통해 국내에 많이 알려졌다.

중국은 반려동물의 대국이다. 2000년대부터 경제발전과 함께 출산율 감소와 중산층의 증가로 반려동물 수가 급증하고 있다. 개는 3000만 마리, 고양이는 6000만 마리에 근접하고 있어 세계 2~3위를 차지하고 있다. 등록되지 않은 경우까지 포함한다면 그 숫자는 훨씬 더 많아질 것이다. 반려동물 산업도 급속도로 발전하고 반려동물이 가족의 일원이라는 개념도 강해져 개고기의 소비는 지속적인 감소 추세라 한다.

반려동물의 식용문제와 동물 학대는 동전의 양면이다. 비용절감을 위한 좁은 공간에서의 밀집 사육은 동물을 지속적인 스트레스에 시달리게 하고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제대로 된 의료서비스를 받지 못하게 한다.


대만, 개의 도살 금지 명문화
동물 보호와 복지에 관해 세계 각국은 법과 제도로 엄격하게 다루는 추세다. 중화 문화권인 대만도 2001년 상업적인 반려동물 도살 금지를 동물보호법에 명시한 데 이어 2017년에는 개나 고양이의 식용목적 도살을 강력하게 처벌하는 내용을 추가했다. 한국도 개와 고양이의 식용을 금지하는 조치를 할 때가 됐다고 생각한다. 이는 전 세계적인 흐름이기 때문이다. 식용문제를 놓고 논쟁하는 자체가 의식의 후진성을 나타내는 것이고 국격에 흠이 될 수 있다.

신남식 서울대 명예교수·(주)이레본 기술고문 theore_creator@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