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돼지열병, 여전한 불안요소 둘

조현우 2019. 5. 31. 14: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민일보 DB

북한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발생하면서 정부가 ‘심각’ 단계에 준하는 방역조치에 나섰다. 그러나 여전히 ASF 확산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잔반급여가 국내에서도 시행되고 있고, 중국으로부터의 직접 유입 가능성도 남아있는 상황이다.

◇ 육로까지 뚫린 ASF

31일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날 오전 이채욱 차관 주재로 정부세종청사에서 긴급 방역상황점검회의를 열었다. 

앞서 지난 30일 농식품부는 북한이 ASF 발생사실을 세계동물보건기구에 공식 보고했다고 밝혔다. 세계동물보건기구 보고에 따르면 지난 23일 압록강 인접 지역인 자강도 우시군 소재 북상협동농장에서 신고됐으며, 이틀 후인 25일 확진됐다. 

해당 ASF로 인해 99마리 중 77마리가 폐사됐으며 나머지 22마리는 살처분됐다. 해당 농장은 중국 요녕성 인근에 위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병되면서 정부와 일선농가 등은 초비상이 걸렸다. 중국에서 북한으로 유입됐다면 북한에서 국내로의 전파 가능성도 높기 때문이다. 

바이러스성 질병인 ASF는 오직 돼지와 야생돼지에게만 감염된다. 치사율이 100%에 이르지만 백신이나 치료법이 없으며, 감염된 동물의 분비물과 호흡, 조리되지 않은 오염된 돼지고기나 소시지 등 가공식품, 차량, 도구, 옷, 축사 등 모든 것에 의해 감염될 수 있다. 야생맷돼지가 감염될 경우 흡혈진드기 등에 의해 집돼지 등으로 옮겨갈 가능성도 있다. 

긴급 방역상황점검회의를 통해 특별관리지역으로 지정된 10개 시군은 강화·옹진·김포·파주·연천·철원·화천·양구·인제·고성 등이다. 주요 도로에는 통제초소와 거점소독시설을 설치하고 축산차량에 대한 방역을 실시한다. 10개 시군에 소재하는 353개 농가에 대한 혈청 검사를 통해 ASF 감염 여부도 확인한다. 

남북 출입국사무소 출입인력과 차량에 대한 소독도 강화하며, 이후 북한 내 ASF가 접경지역 인근까지 확산될 경우에는 접경 농가의 출하 도축장 지정해 돼지 이동제한 등도 대비하고 있다.

통제하기 어려운 야생맷돼지의 차단 도치도 강화한다. 접경지역 내 모든 양돈농가에 포획틀과 울타리 시설 설치를 다음달까지 조기 완료하고 신고포상금을 10배로 상향한다. 

사진=픽사베이

◇ 잔반급여에 구제역 사례까지… 불안요소는 여전히

불안감은 여전하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의 확산 원인으로 지목되는 음식물류 폐기물의 돼지 급여가 여전히 남아있기 때문이다. 생존력이 강한 바이러스 특성상, 가정에서 소시지 등 돼지고기 가공품을 먹다 남아 버릴 경우 이 잔반이 돼지 사료로 쓰일 가능성이 있다. 이렇게 되면 이를 섭취한 돼지는 물론 같은 농장에 사육되고 있는 돼지들로 겉잡을 수 없이 확산된다.

앞서 지난 29일 대한한돈협회는 아프리카돼지열병의 국내 유입을 막기 위해 폐기물 처리업체에서 사료화한 음식물류 폐기물 돼지 급여를 전면 금지해야한다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하태식 대한한돈협회 회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정부가 아프리카돼지열병을 막겠다면서 음식물류 폐기물 급여를 일부 허용하겠다는 것은 미봉책일 뿐”이라면서 “현재 계류 중인 법안이 조속히 본회의를 통과해 가축전염병 예방을 확실히 대처할 수 있는 강도 높은 음식물류 폐기물 급여 전면금지 조치가 시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국에서 직접적으로 국내에 유입될 가능성도 여전하다. 당장 올해 구제역 사례가 있기 때문이다. 

지난 1월 28일 경기도 안성시 한우농가에서 올해 첫 구제역 의심 발생 신고가 들어왔다. 이어 경기도 안성과 충북 충주시 등의 한우 농장에서도 유사한 증세에 따른 신고가 접수됐다. 검역당국의 정밀검사 결과 해당 농장의 한우들은 모두 구제역 확진 판정을 받았다. 

문제는 해당 구제역이 중국에서 발생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이다. 정부의 역학조사 결과 당시 구제역은 중국의 구이저우성에서 발생한 구제역 바이러스와 99.5%의 유사성을 보인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중국에서 들여온 불법 축산물에 의해 유입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할 뿐, 유입 경로를 특정하지는 못했다. 아프리카돼지열병 역시 구제역과 비슷한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고 우려하는 이유다. 

이재욱 농림부 차관은 “최악의 상황을 가정하고 접경지역 예방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며 "관계부처 회의를 통해 국방부, 환경부, 통일부 등과 북한 ASF 발생과 관련된 강화된 협력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조현우 기자 akgn@kukinews.com

Copyright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