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톺아보기] '맛없다'와 '맛있다'의 발음

유지철 2019. 5. 27. 04:4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음식이 맛없다'고 할 때 '맛없다'는 [마덥따]로 발음한다.

'맛없다'는 '맛'과 '없다'의 합성어인데, 뒤에 오는 '없다'가 실질 형태소이기 때문에 '맛'과 '없다'를 끊어서 발음해야 된다.

그렇다면 '맛있다'는 어떻게 발음하는 것이 맞을까? '맛있다'는 '맛없다'의 경우처럼 '있다'가 실질 형태소이기 때문에 '맛'과 '있다'를 끊어서 절음시켜 [마딛따]로 발음하는 것이 옳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게티이미지뱅크

‘음식이 맛없다’고 할 때 ‘맛없다’는 [마덥따]로 발음한다. ‘맛없다’는 ‘맛’과 ‘없다’의 합성어인데, 뒤에 오는 ‘없다’가 실질 형태소이기 때문에 ‘맛’과 ‘없다’를 끊어서 발음해야 된다. 이렇게 ‘맛’을 끊어서 절음시켜 발음하면 ‘맛’의 받침 ‘ㅅ’이 대표음 [ㄷ]으로 바뀌어 ‘맛없다’가 [마덥따]로 발음되는 것이다. ‘겉옷’의 경우도 ‘겉’의 ‘ㅌ’ 받침이 대표음 [ㄷ]으로 바뀌어 [거돋]으로 발음된다.

그런데 ‘부엌에’와 ‘꽃을’과 같은 말들은 절음시키지 않고 그대로 받침을 연음시켜 [부어케], [꼬츨]이라고 발음하는데, 그 이유는 ‘부엌’과 ‘꽃’의 뒤에 오는 ‘에’와 ‘을’이 형식 형태소인 조사이기 때문이다. 흔히 ‘부엌에’와 ‘꽃을’을 [부어게]와 [꼬슬]이라고 잘못 발음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에는 받침을 그대로 연음시켜 발음해야 한다.

그렇다면 ‘맛있다’는 어떻게 발음하는 것이 맞을까? ‘맛있다’는 ‘맛없다’의 경우처럼 ‘있다’가 실질 형태소이기 때문에 ‘맛’과 ‘있다’를 끊어서 절음시켜 [마딛따]로 발음하는 것이 옳다. 그런데 ‘맛있다’의 경우에는 [마딛따]와 [마싣따]를 모두 표준 발음으로 인정하고 있다. 이는 원래 [마딛따]가 표준 발음이지만 실제 언중들이 [마싣따]로 많이 발음하기 때문에 현실 발음을 인정한 것이다.

언중들이 대부분 ‘맛있다’를 [마싣따]로 발음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맛이 있다’가 [마시 읻따]로 발음되는데, 이것을 줄여서 [마싣따]로 발음하게 되었다는 견해와 ‘맛있다’가 ‘맛’과 ‘있다’의 합성어이지만 언중들이 이를 합성어가 아닌, 경계가 없는 단일어로 인식해 절음시키지 않고 연음시켜 [마싣따]로 발음하게 되었다는 견해 등이 있다.

유지철 KBS 아나운서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