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서민갑부' 바버샵으로 연매출 10억 올린 사연

입력 : 2019-05-16 22:57:35 수정 : 2019-05-16 22:57:04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서민갑부‘에서 바버샵 운영으로 서민갑부가 된 한 남성의 사연이 공개됐다.

 

16일 오후 방송된 채널A ‘서민갑부’에서는 남자의 품격을 찾아주는 바버샵을 운영하며 연 매출 10억 원을 올리고 있는 ‘바버(Barber)’ 강동한(맨 위 사진) 씨 이야기가 전파를 탔다.

 

서양에서 오랜 전부터 남자들의 일상으로 자리 잡은 바버 문화가 서울의 한 한적한 골목길에 있다. 

 

화려한 인테리어로 남자들의 발걸음을 멈추게 만드는 강 씨의 바버샵은 존재만으로도 그 특별함을 설명하고 있다.

 

젊고 트렌디한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는 바버샵은 오직 남성들을 위한 공간이다. 

 

이곳에서 강 씨는 서양 바버들이 해왔던 그대로 가위와 클리퍼만으로 30여 가지 이상의 헤어스타일을 만들어냈다. 세심한 작업으로 고객의 단점까지 보완하는 고객 맞춤 스타일링을 완성했다.

 

헤어스타일이 완성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지만 손님들은 서양의 바버샵처럼 술 한 잔 마시며 편히 쉴 수 있어 고객의 만족도가 높다. 

 

아울러 얼굴에 맞는 수염 모양과 길이를 찾아 관리까지 해주고 있어 남성 손님들은 더욱 그의 바버샵을 방문하고 있다.

 

이렇듯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바버샵으로 자리 잡기까지 강 씨에게도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했다. 

 

헤어디자이너로 일을 시작한 강 씨는 어느 날 남자들만의 헤어스타일을 위한 바버가 되기로 결심한다. 

 

그러나 국내에서 버버 기술을 배울 수 없었던 그는 직접 해외의 바버샵을 찾아다니며 바버 기술을 배웠다. 서양인들에 맞춰진 기술을 한국인들에게 적용할 수 있도록 쉬지 않고 연구했다. 

 

한국으로 돌아와 바버샵을 차린 강 씨는 처음에 낯선 분위기 때문에 손님들에게 외면받기 일쑤였다. 하지만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끊임없이 바버 문화를 알리고 인식을 바꾸기 위해 노력했다. 

 

그 결과, 바버에 대한 관심이 점차 늘어나기 시작하면서 강 씨는 현재 두 곳의 바버샵과 아카데미까지 운영하는 연 매출 10억 원을 자랑하는 청년갑부가 됐다.

 

김정호 온라인 뉴스 기자 Ace3@segye.com

사진=채널A 캡처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르테미스 희진 '금발 여신'
  • 아르테미스 희진 '금발 여신'
  • 한소희 '시선 사로잡는 타투'
  • 송지우 '깜찍한 꽃받침'
  • 표예진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