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의료원 CONNECT-AI 사업단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주한 ‘5G-인공지능(AI) 기반 응급의료시스템 개발 사업’에 주관 기관으로 선정됐다.

이는 정부가 최근 발표한 ‘5G+ 전략’ 핵심서비스다. 사업단은 국가로부터 3년간 180억원을 지원받아 AI 기술 기반 응급의료시스템 개발과 적용에 나선다. 사업단은 연세의료원을 주관 기관으로 의료기관, 기업, 정부출연연, 공공기관 등 20개가 넘는 기관으로 구성돼 있다.

응급 상황에 AI 기술 적용한 서비스를 개발해 환자 중증도를 신속, 정확히 분류하고 적절한 응급 처치를 제공해 최적 의료기관으로 이송, 치료 골든타임을 확보하는 것이 사업 목표다. 4대 중증 질환 관련 응급 상황을 우선 대상으로 한다.

사업단은 5G통신망을 기반으로 ‘소방청-중앙응급의료센터-119구급대-의료기관’ 전산 시스템을 연결해 AI 기술 기반 실시간 정보 공유 체계를 구축한다. 병원 도착 후 환자 발생 신고 단계부터 응급 의료서비스 제공 전 과정에서 구간별로 필요한 서비스를 개발해 제공한다.

음성영상 데이터를 AI 기술로 분석하고 구급대원들이 현재 태블릿PC에 수동으로 입력하는 구급활동일지를 자동 입력, 개별 응급 상황에 맞는 구급활동지침 제시, 화상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응급진료센터와 연락, 환자 생체 정보에 기반한 중증도 분류, 응급의료센터 포화도 분석과 이를 바탕으로 한 최적 이송 병원 선정, 최적 이송 경로 안내 등이 주요 개발 내용이다. 이는 지난 수 년 간 심혈관연구소 박은정 교수, 응급의학과 김지훈 교수 등이 참여해 진행해 온 스마트 응급의료서비스(SEMS)와 라이프태그 사업 연장선에서 기획됐다.

2020년까지 시스템을 개발, 2021년 광역지자체 실증이 마무리된다. 정부는 2025년까지 구급차 7000여대와 응급의료기관 400여곳 등 개발된 시스템을 실제 의료 현장에 확대 적용한다.

개발된 서비스는 과기부에서 진행 중인 정밀의료 분야 의료정보시스템개발사업(pHIS), 의료인공지능솔루션개발사업(닥터 앤서)사업 등과 연계해 인공지능 의료 AI 서비스구현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업단장인 장혁재 교수는 "정부와 사회의 기대가 큰 만큼 관련 기관과 적극 협력해 세계 최초 5G-AI 의료서비스를 의료원이 구현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윤도흠(앞줄 왼쪽 3번째) 연세의료원장과 장혁재 의료정보실장(사업단장)을 포함한 CONNECT-AI 사업단 구성원이 3월 한자리에 모여 시스템 개발을 향한 의지를 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