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중국이 대북 제재 결의에 따라 지난해 현지에서 일하는 북한 노동자를 절반 이상 송환했다고 주장한 것과 관련, 유엔 주재 영국 대사는 29일(현지 시각) 중국에 구체적인 송환 규모를 밝힐 것을 촉구했다.
AFP에 따르면, 캐런 피어스 유엔 주재 영국 대사는 이날 미국 뉴욕 유엔 본부에서 기자들과 만나 "북한에 연간 약 8억달러(약 9100억원)를 벌어주는 북한의 해외 노동자들은 대북 제재 체제에 도전이 되고 있다"며 "우리는 이 문제와 관련, 올해 말까지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최대한의 정보를 원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피어스 대사는 영국은 수일 안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원국들에 이 문제를 제기할 것이라고 했다.
앞서 로이터는 지난 26일 중국과 러시아가 최근 유엔 안보리 산하 대북제재위원회에 제출한 한장짜리 미공개 보고서를 인용, 두 나라가 북한 노동자 중 상당수를 북한으로 송환했다고 보도했다.
러시아는 이 보고서에서 2018년 자국의 북한 노동자 수가 3만23명에서 1만490명으로 줄었다고 밝혔다. 중국도 북한 노동자 중 절반을 북한으로 송환했다고 밝혔지만, 구체적인 수는 공개하지 않았다.
유엔 안보리는 2017년 채택한 결의안을 통해 각국에 북한 노동자 고용을 금지하고, 이미 해외에서 일하는 북한 노동자를 2019년 말까지 본국으로 송환하라고 했다.
미국은 북한이 10만명에 달하는 해외 파견 노동자 중 약 8만명은 중국에, 3만명은 러시아에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AFP는 "해외에서 일하는 북한 노동자들은 노예같은 대우를 받고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