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19일) 정월대보름..유래와 먹는 음식은?

황효원 2019. 2. 19. 07:2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오늘(19일)은 설날 이후 첫 보름달이 뜨는 한국의 전통 명절인 정월대보름이다.

정월대보름에는 한 해 계획을 세우는 과정에서 운수를 점치고 부럼과 오곡밥, 보름나물, 귀밝이술 등을 먹으며 건강과 소원을 빈다.

보름나물을 섭취하는 것은 겨울철 부족할 수 있는 섬유질 무기질과 같은 영양소를 보충해서 한 해를 건강하게 지낼 수 있다는 뜻에서 시작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다섯가지 곡식을 넣은 오곡밥. 사진=게티이미지뱅크 DB

[아시아경제 황효원 기자] 오늘(19일)은 설날 이후 첫 보름달이 뜨는 한국의 전통 명절인 정월대보름이다. 정월대보름에는 한 해 계획을 세우는 과정에서 운수를 점치고 부럼과 오곡밥, 보름나물, 귀밝이술 등을 먹으며 건강과 소원을 빈다.


정월대보름의 대표 행사인 '부럼 깨기'는 아침 일찍 부럼을 자신의 나이만큼 깨물어 먹는 관습이다. 이는 조상들이 부럼을 깨물며 부스럼이 나지 않도록 비는 관습이 현대까지 이어져 온 것이다.


부럼 깨기가 끝나면 오곡밥을 먹는다. 오곡밥은 다섯가지 곡식을 섞은 잡곡밥으로 가을 추수 때 가장 잘 자라던 곡식들을 모아 한 공기에 담은 데서 유래했다.


지역에 따라 멥쌀,차조,찰수수,찰기장,붉은 팥, 검은 콩 등을 기본으로 한 오곡밥은 인간의 오장을 의미하는 것으로 새 새명을 시작하는 봄철을 앞두고 오장육부에 영양소를 균형있게 공급하려는 선조들의 지혜가 담겼다.


붉은 팥과 검은 콩은 눈 건강과 콜레스테롤 억제 기능이 있는 안토시아닌이 많고, 갈색 수수엔 항산화 효과가 뛰어난 폴리페놀 함량이 높다.


보름나물을 섭취하는 것은 겨울철 부족할 수 있는 섬유질 무기질과 같은 영양소를 보충해서 한 해를 건강하게 지낼 수 있다는 뜻에서 시작됐다. 보름나물은 고사리,가지,시래기,도라지,곤드레,삼나물,취나물 등 종류가 9가지다. 원하는 나물을 선택해 삶은 후 볶아먹으면 된다.


귀밝이술도 대표적인 음식인데 이명주, 명이주, 유롱주, 치롱주, 이총주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귀밝이술은 정월 대보름날 아침에 데우지 않은 청주 한 잔을 마시면 귀가 밝아지고 그 해 일년 동안 좋은 소식을 듣는다고 해 남녀노소 모두가 마신 것으로 알려졌다.

황효원 기자 woniii@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