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5G·AI 주도권 잡겠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5G와 인공지능(AI) 분야에서 주도권을 잡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5일(현지시간) 새해 국정 연설에서 의회와 함께 미래 첨단기술 산업에 대한 투자를 계획 중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의 첨단기술 투자는 중국을 따돌리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들 관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행정명령을 통해 5G 분야에서 중국이 공급사슬을 점거하는 상황에 대비해 새로운 기업들을 지원하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5G와 인공지능(AI) 분야에서 주도권을 잡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5일(현지시간) 새해 국정 연설에서 의회와 함께 미래 첨단기술 산업에 대한 투자를 계획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 같은 프로젝트를 두고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강조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번 발언이 차세대 무선통신 기술인 5G와 인공지능(AI)을 지목한 것이라고 밝혔다.
AI와 5G는 사물 인터넷과 자율주행 자동차와 같은 혁신적인 장치의 근간이 되는 기술로 글로벌 성장동력으로도 주목을 받는다.
트럼프 대통령의 첨단기술 투자는 중국을 따돌리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외신은 “미 정부는 중국이 이 분야에서 세계 선두를 차지하는 것을 두려워한다”고 보도했다.
힐러리 클린턴 전 미국 국무장관의 혁신 담당 보좌관이던 알렉 로스는 “미국이 대형시장인 인터넷에서 첫 25년을 이겼으나 앞으로 15년의 결과는 미지수”라며 “분발하지 않으면 특히 AI를 비롯한 한두 분야에서 밀려날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마이클 크랫시오스 백악관 기술정책 담당 수석 보좌관은 성명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혁신 생태계가 향후 여러 세대에 걸쳐 세계의 부러움을 살 것임을 확약했다”고 취지를 설명했다.
미국 관리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곧 미국의 첨단기술 강화와 관련한 일련의 행정명령을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 관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행정명령을 통해 5G 분야에서 중국이 공급사슬을 점거하는 상황에 대비해 새로운 기업들을 지원하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WSJ은 관리들이 5G의 선두주자인 화웨이와 같은 중국 업체들이 통신장비 제조를 지배해 서방에 경쟁력이 있는 업체가 사라지는 것을 크게 우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에 진입하는 기업이나 한국·일본 기업을 지원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 정부는 AI 분야에서는 여기저기 흩어져있는 연방정부의 자원을 기술육성에 집중하기 위한 행정명령을 준비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WSJ은 관리들이 정부가 보유한 기술을 더 많이 활용해 워싱턴DC를 일종의 인큐베이터로 바꾸는 방안을 모색해왔다고 보도했다.
미국 정부는 프라이버시를 침해하지 않는 선에서 AI에 사용되는 정부의 데이터를 더 많이 공개할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지연기자 now21@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홍일표 국회 산업위원장, "화웨이 공공기관 제한 논의할 것"..국가 기간산업 안보 직결
- LG전자, 가전 사업 2년 연속 세계 최고 영업이익-이익률..월풀·일렉트로룩스와 격차 벌려
- '삼성 QLED- LG OLED'..사이니지에서도 기술경쟁 '후끈'
- 트럼프 "5G·AI 주도권 잡겠다"
- 벤츠, 첫 달부터 압도적 '1위'..BMW는 '반 토막'
- 현대차, '2030 이익률 10%' 시동 걸었다.."기획부터 판매까지 전사 각오↑"
- 전남도, 2022년까지 2500억원을 투입해 1300개 스마트공장 보급
- 테슬라, 올해 두번째 가격 인하 단행
- GM, 기대치 뛰어넘는 실적 발표 '전기차 전환 박차'
- 중백, 항균·탈취·항곰팡이성 광촉매 향균코팅 액상시료 '폴인케어'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