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매년 해도 헷갈리는 설날 차례상 차리는 방법은
- 떡국은 우측에 술잔은 좌측에
- 생선은 동쪽에 고기는 서쪽을 향해
 


[헤럴드경제=성기윤 기자] 설날을 맞이해 차례상을 차리는 방법과 지방을 쓰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4일 전문가들에 따르면 차례상은 총 5열로 음식을 차리게 되는데 병풍의 바로 앞부터 1열로 칭한다.

1열에는 시접, 잔반, 메(밥)등이 놓여진다. 떡국은 우측에 술잔은 좌측에 놓으면 된다.

이어 2열에는 ‘어동육서’(魚東肉西). 생선 반찬은 동쪽, 고기반찬은 서쪽에 놓으며, 이때 생선의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을 향하게 놓는다.

3열에는 탕류가 놓여지는데 육탕, 소탕, 어탕 순으로 놓으면 된다. 4열에는 ‘좌포우혜’(左鮑右醯)로 육포(肉脯)는 왼쪽에, 식혜(食醯)는 오른쪽에 나물 등은 가운데 놓아둔다.

마지막으로 5열은 ‘조율이시(棗栗梨枾)’, 왼쪽부터 대추, 밤, 배, 감 등의 순서로 놓으면 된다. 이때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에 놓는다.

제사에 쓰는 밥은 ‘메’, 국은 ‘갱’, 숭늉은 ‘숙수’, 구이는 ‘적’, 부침개는 ‘전’, 찌개는 ‘탕’이라는 이름으로 부른다.

밥과 국, 수저, 술잔, 숭늉, 떡국 등은 지방(신위) 수, 즉 모시는 조상님 숫자 만큼 준비한다.

밥은 뚜껑을 덮고, 국은 쇠고기 뭇국이나 해안 지방의 경우 맑은 생선국을 준비한다.

숭늉은 물에 밥을 조금 풀어둔다.

나머지 음식들은 신위 수와 상관없이 준비하면 된다.

술은 정종이나 전통소주 등 맑은 술로, 식초와 간장은 종지에 담아서 차린다.

떡은 시루떡, 탕은 어탕, 육탕, 계탕 등을 준비한다.

부침개는 고기전, 생선전, 구이는 조기, 쇠고기, 닭, 포는 어포, 육포 등을 준비한다.

어포는 그릇에 담을 때 등을 위로 가게 한다.

김치는 나박김치, 나물은 3색 나물, 과일은 짝수로 담는다.

모든 제사 음식에는 마늘, 후추, 고춧가루, 파 등 향신료를 쓰지 않고 간장ㆍ소금만 쓴다.

제사 음식을 준비했으면 차리는 법도 따로 있다.

‘지방 쓰는 법’도 확인해 둘 필요가 있다.

지방은 집안에서 차례나 제사에 조상을 모시기 위해 쓴 종이를 의미한다.

차례가 끝난 뒤 지방을 태우는 것이 우리나라의 풍습이다.

차례상에 올리는 지방은 폭 5~6cm, 길이 20~22cm 정도의 화선지나 한지에 각 관계에 맞는 양식에 따라 한자 또는 한글로 쓴다.

쓰는 글자는 고인과의 관계, 고인의 직위, 고인의 이름, 신위 등에 따라 달라진다.

고인을 모신다는 뜻의 ‘나타날 현(顯)’ 자를 먼저 쓴다. 다음으로 제주와의 관계, 고인의 직위, 부군 또는 고인의 본관과 성씨, 신위 순으로 작성한다.

제사를 지내는 사람과의 관계에 따라 아버지는 고위(考位), 어머니는 비위(妣位), 할아버지는 조고(祖考), 할머니는 조비(祖位)를 쓴다.

순서는 고위(아버지)를 왼쪽에 쓰고, 비위(어머니)를 오른쪽에 쓴다.

한 분만 돌아가셨을 경우에는 돌아가신 분만 중앙에 쓴다.

마지막으로 고인과 제사를 모시는 사람의 관계를 작성한 뒤 고인의 직위와 이름을 적고 마지막에 신위(神位)라고 쓰고 마무리하면 된다.

skysu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