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펠로시 '앙숙'서 '친구' 모드 급선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극한 대치를 벌이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이 '앙숙'에서 '친구' 모드로 돌입했다고 뉴욕타임스(NYT) 등 미 언론이 28일 보도했다.
이날 두 사람은 트럼프 대통령이 다음 달 5일 미 의회에서 연두교서를 발표하는 데 합의했다.
셧다운에 대한 부정적 여론까지 겹치며 결국 트럼프 대통령은 셧다운 해제 및 연두교서 발표 시점에서 모두 펠로시 의장에게 백기를 든 셈이 됐다고 미 언론은 풀이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극한 대치를 벌이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이 ‘앙숙’에서 ‘친구’ 모드로 돌입했다고 뉴욕타임스(NYT) 등 미 언론이 28일 보도했다. 이날 두 사람은 트럼프 대통령이 다음 달 5일 미 의회에서 연두교서를 발표하는 데 합의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펠로시 의장이 보낸 ‘연두교서 초청 서한’을 받고 즉각 수락했다. “초청을 수락하게 돼 영광”이라는 말도 남겼다. 서한 발송 전 두 사람은 약 12분간 통화를 했다.
미 대통령의 새해 국정연설인 연두교서는 매년 1월 29일 발표된다. 그러나 멕시코 국경장벽 건설 논란으로 지난해 12월 21일부터 이달 25일까지 미 역사상 최장기 연방정부 업무정지(셧다운)가 발생하면서 연두교서 발표 시점도 계속 미뤄졌다.
16일 펠로시 의장이 “연두교서 날짜를 연기하거나 의회에 서면으로 대체하라”고 제안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강하게 반발했다. 그는 연두교서 발표 사전연습을 강행하며 ‘맞불’을 놨고 22일에는 연두교서 발표에 필요한 회의를 소집하고 언론에 “발표를 예정대로 진행한다”고도 알렸다. 워싱턴이 아닌 다른 지역에서 지지 집회를 열고 연두교서를 발표하는 일종의 ‘우회상장’도 고려했다. 이런 움직임에 대해 펠로시 의장 또한 “셧다운 중엔 결코 연두교서 발표를 허용하지 않겠다”고 주장하며 날카롭게 대립했다.
하지만 연두교서 발표 장소가 의회임을 감안할 때 하원의장의 협조 없이 이를 진행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까웠다. 셧다운에 대한 부정적 여론까지 겹치며 결국 트럼프 대통령은 셧다운 해제 및 연두교서 발표 시점에서 모두 펠로시 의장에게 백기를 든 셈이 됐다고 미 언론은 풀이했다.
전채은 기자 chan2@donga.com
[☞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 |
[아이돌픽♥] 강다니엘 vs 박지훈, 당신의 선택은? |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도로 뚫고 철도 깔고.. 24兆 예타 면제 '급행 티켓'
- 우체국이 Hospital? 낯뜨거운 외국어 안내판
- 文대통령, 김현철 경제보좌관 사의 수용.."너무 안타깝다"
- 국민연금 수탁委 2차 회의 빈손.."한진칼·대한항공 적극적 주주권 행사 논의 안해"
- 태국 공항서 보안요원 뺨 때린 한국여성 영상 확산.."국가 망신"
- 별 거 아닐 줄 알았는데..그 어려운 걸 어찌 33년 하셨나
- 文대통령 딸 해외 이주 주장에..靑 "불법 정보유출, 책임 물을 것"
- 숲에서 실종 이틀만에 구조된 美 어린이 "곰 친구와 함께 있었어요"
- 차기 대선주자 선호도 조사, 황교안 17.1%로 첫 1위..2위는?
- 中 전기차 배터리 공급 홍수로 줄도산.. 한국 3社엔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