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으로 보는 2019 다보스포럼 글로벌 경제, 연초부터 비관론에 휩싸였다

강승태 2019. 1. 28. 10:3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스위스 스키 휴양지 다보스에서 1월 22일(현지 시간)부터 나흘 일정으로 열린 ‘세계경제포럼(WEF) 제49차 연차총회’ 이른바 ‘다보스포럼’이 막을 내렸다.

‘세계화 4.0 : 4차 산업혁명 시대 글로벌 지배구조 구축(Globalization 4.0 : Shaping a Global Architecture in the Age of Fourth Industrial Revolution)’이란 주제로 열린 다보스포럼에서는 글로벌 현안에 대한 다양한 해법이 오갔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를 비롯한 64개국 정상과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 등 40여개 국제기구 대표,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 등 재계 거물급 인사 등 3000여명이 참석했다.

올해 초 글로벌 경제 시장에는 그 어느 때보다 많은 사건 사고가 터져 나왔다. 미중 무역전쟁,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업무 마비),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논란 등 새해 벽두부터 경제·정치 불확실성이 커졌다. 낙관론이 지배했던 지난해와는 달리 올해 포럼 현장에서 유난히 비관적인 전망이 팽배했던 이유기도 하다.

다보스포럼 자체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탓에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개막했다. 당초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폐막식 기조연설에 이어 올해 개막식 기조연설자로 참가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연방정부 셧다운을 핑계로 전격 불참을 선언했다.

이 때문에 올해 다보스포럼 개막식은 이례적으로 국가원수 기조연설 없이 클라우스 슈밥 WEF 회장 환영사와 율리 마우러 스위스 대통령 특별연설로 마무리 지었다. 다보스포럼 개막 기조연설은 가장 많은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핵심 이벤트로 2017~2018년에는 각각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맡은 바 있다.

그뿐 아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포럼을 나흘 앞두고서는 아예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 스티브 므누신 재무장관, 윌버 로스 상무장관, 이방카 트럼프 백악관 보좌관 등 미국 대표단 참석을 다 취소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갑작스러운 불참과 미국 대표단 파견 철회로 주최 측은 프로그램을 대거 수정하는 등 한바탕 홍역을 치렀다. 다보스포럼의 올해 화두가 반세계화 세력의 대표 격인 트럼프와 맞서는 ‘세계화(글로벌라이제이션)’라는 점이 아이러니했다. 클라우스 슈밥 다보스포럼 창립자는 기조연설에서 “우리는 인류 역사의 교차로에 서 있다”며 “세계화 4.0은 사람을 기술의 노예가 아닌, 상호 연결된 세계의 중심에 놓는 개념”이라고 말했다.

▶심각한 도전 맞이한 글로벌 경제

▷미중 무역분쟁에 ‘하드 브렉시트’까지

“글로벌 경제가 최근 수년간 본 적이 없는 심각한 도전에 직면할 것이다.”

장대환 매경미디어그룹 회장과의 대담에서 존 리딩 파이낸셜타임스 최고경영자(CEO)는 이같이 말했다. “다보스포럼 현장에 와보니 지난해와 달리 세계 경제 전망이 상당히 비관적으로 변해 있는 것을 감지했다”는 장 회장의 진단에 존 리딩 CEO는 “기업인들이 시장을 보수적으로 바라보게 만드는 심각한 요인 중 하나가 미중 무역분쟁”이라고 진단했다.

리딩 CEO는 “아주 극단적인 사고를 하는 데다 목소리도 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지 기반의 환심을 사기 위해 목소리를 더 키울 것으로 보인다”며 “미봉책은 가능할 수 있지만 미·중 간 접점을 찾기 힘들고 최종적인 합의를 이루기도 쉽지 않을 것”으로 우려했다.

설상가상 유로존 경제가 둔화 추세에 접어들었고 브렉시트를 둘러싼 불확실성은 투자심리를 더욱 위축시키고 있다. 국내총생산(GDP)의 3배에 달하는 중국 부채도 세계 경제에 심각한 도전이 될 것이라는 게 리딩 CEO의 생각이다.

그는 “일본 경제도 취약한(fragile)한 상태인데 올해 새로운 소비세가 도입되면서 소비를 위축시킬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이 많다”며 “실제 영향이 어떨지는 봐야겠지만 여러 기업을 걱정시키는 것만은 분명하다”고 설명했다. 리딩 CEO는 글로벌 경제가 단순한 경기 둔화에서 경기 침체(리세션)로 악화될 수 있다는 시장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기 때문에 보다 경각심을 높일 것을 주문했다.

다른 CEO 생각도 비슷했다. 마이클 코뱃 씨티그룹 CEO는 브렉시트에 대해 특히 비관적 견해를 내놨다. 그는 “영국이 EU에서 탈퇴는 하지만 EU 단일 시장 내 지위는 유지하는 ‘소프트(soft) 브렉시트’가 최선이다. 하지만 현 상황으로서는 기대하기가 쉽지 않다. 영국이 아무런 합의 없이 EU를 떠나는 ‘노딜 브렉시트’나 ‘하드 브렉시트’를 대비하는 것 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어 보인다”고 강조했다.

케네스 로고프 하버드대 교수는 중국 경기 둔화 위기설을 집중 조명했다. 로고프 교수는 “중국의 경기 하강은 생산성이 고갈되면서 매우 본질적인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다. 중국에서 좀비 국영기업에 돈을 투입하고 있지만 이것이 과거에 봤던 10% 성장을 재현시키지는 못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세계 최대 헤지펀드 브리지워터어소시에이츠를 이끄는 달리오 회장은 “미국·유럽·중국 이들 지역 모두가 상당한 수준의 경기 둔화를 경험할 것”이라며 마찬가지로 비관적인 경기 진단을 내놨다.

▶CEO 3명 중 1명 ‘올해 경기 침체’

▷통화정책 “추가 금리 인상 어려울 것”

글로벌 경제 비관론은 CEO 설문 결과에도 고스란히 반영됐다. 밥 모리츠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 회장은 올해 세계 경제 전망의 가장 큰 특징을 ‘비관’이라는 한마디로 규정했다. 글로벌 회계·컨설팅그룹인 PwC는 매년 전 세계 주요 기업 CEO를 상대로 설문조사한 뒤 보고서를 다보스포럼 현장에서 발표한다. 올해는 91개국에서 1378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했다.

지난해 설문조사 때는 세계 경제를 긍정적으로 전망한 CEO가 57%로 절반을 넘었지만 올해는 42%로 확 줄었다. 침체를 전망한 CEO는 3명 중 1명으로, 전년에 비해 6배 폭증했다. 이 같은 증가폭은 PwC가 22년 동안 글로벌 CEO 설문조사를 한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이다. 1년 새 경기 전망에 대한 CEO들의 인식이 완전히 뒤바뀐 셈이다.

CEO들이 꼽은 경제 위협 요인으로는 지난해에 이어 ‘과도한 규제’(35%)가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정책 불확실성’(35%) ‘핵심 기술 확보 어려움’(34%) ‘무역갈등’(31%) ‘사이버 위협’(30%) ‘지정학적 불확실성’(30%) ‘보호무역주의’(30%) 등 순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경제 전망 불확실성이 심화하고 경기 둔화 불안감까지 증폭되면서 통화정책 방향도 변화할 것이라는 진단도 나왔다. 악셀 베버 UBS 회장은 “글로벌 성장 둔화 탓에 중앙은행들이 추가 금리 인상을 중단할 것이다. 정상적인 수준으로 금리를 올리는 것은 올해가 아니라 다음 사이클이나 돼야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세계 인적자원 경쟁력지수(GTCI), 125개국 중 30위

노사협력 수준 ‘세계 꼴찌’ 노동유연성도 ‘하락’

한국 경제 최대 아킬레스건으로 꼽히는 ‘노사 문화’가 이전보다 한층 더 퇴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연하지 못한 노동시장 경직성과 적대적이고 전투적인 노사 문화가 한국 경제 경쟁력 발목을 잡고 있다는 경고음이다.

유럽 경영대학원 인시아드와 다국적 인력 공급업체 아데코는 다포스포럼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세계 인적자원 경쟁력지수(The Global Talent Competitiveness Index·GTCI) 2019’를 발표했다. GTCI에 따르면 한국의 국가 인적자원 경쟁력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조사 대상 125개국 중 30위로 정체 국면을 이어갔다.

한국의 인적자원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가장 큰 원인은 국내 노사관계였다. 지난해도 세계 꼴찌에 가까웠던 노사협력(Labour-employer cooperation) 부문은 올해는 116위에서 120위로 한층 더 주저앉았다. 2015년(102위) 이후 지속적으로 퇴행을 거듭하는 모습이다. 노동시장 경직성을 보여주는 바로미터인 ‘채용’과 ‘해고 용이성’도 올해 각각 76위, 64위를 기록해 전년 대비 7계단, 1계단씩 순위가 내려갔다. 한국보다 노사협력이 뒤처지는 국가는 조사 대상 125개국 중 5곳밖에 없다. 121위부터 125위까지 우루과이, 네팔, 크로아티아, 트리니다드토바고, 남아프리카공화국순이다.

[강승태 기자 kangst@mk.co.kr]

[본 기사는 매경이코노미 제1994호·설합본호 (2019.01.30~2019.02.12일자) 기사입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경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