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중국 보아오포럼, 일본 니케이포럼에 이어 세계 최대 경제 포럼인 다보스포럼에서도 사회적 가치 추구 경영을 강조하고 나섰다.
SK는 24일(현지시간) 스위스 다보스 벨베데르 호텔에서 보스턴 컨설팅 그룹과 함께 ‘기업가치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주제로 한 세션에서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기업이 해야 할 역할을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고 25일 밝혔다.
다보스포럼에서 SK가 직접 세션을 개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다보스포럼에는 최 회장 외 최재원 SK수석부회장, 김준 커뮤니케이션위원장(SK이노베이션 사장), 이형희 사회공헌위원장, 조정우 바이오팜 대표 등이 참석했다.
이날 세션에는 최 회장과 한스 파울 뷔르크너 보스턴 컨설팅 그룹 회장 외 조 캐저 지멘스 회장, 조지 세라핌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 교수, 캐빈 루 파트너스 그룹 아시아 대표 등이 패널로 나섰다.
최 회장은 이번 포럼에서 2013년 다보스포럼에서 제시한 사회적 가치 추구 성과와 가능성을 확인하면서 글로벌 공감대를 확산시켰다. 최 회장은 당시 ‘임팩트 투자’ 세션 패널로 참여해 사회적 가치 추구를 위한 다양한 방법론을 제시했다.
최 회장은 "6년 전 이 자리에서 사회적 가치 추구 개념을 소개한 뒤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며 ‘사회적 가치 측정’, ‘사회성과인센티프(SPC) 도입’, ‘더블 보텀 라인(DBL) 적용’ 등 구체적 사례를 제시했다.
최 회장은 "사회적 기업이 창출한 사회적 가치를 측정한 뒤 그에 비례해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SPC를 4년 동안 190여 사회적 기업을 대상으로 시행했는데 지원금(150억원)보다 더 많은 경제적‧사회적 성과를 만들어 냈다"며 "측정과 보상 시스템을 도입하니 사회적 기업들이 추구해야 할 목표를 더 정확히 인식했고 몰입도를 높여 지속가능성을 강화하는 효과가 나타났다"고 했다.
이어 "이런 효과에 주목해 SK 계열사들도 기존 재무성과에 더해 사회적 가치를 측정하고 관리하는 더블 보텀 라인을 도입했으며 사회적 가치 측정값을 핵심성과지표에 반영하고 있다"고 했다.
이날 기조 연설자로 나선 조시 세라핌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 교수는 "SK가 선보인 사회적 가치 추구활동은 기존의 일회성 사회공헌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선순환 효과를 만들어 낸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모델"이라고 했다.
최 회장은 SK에너지가 소유한 주유소를 공유 인프라로 개방하고 SK텔레콤이 기술혁신으로 양질의 통화음질을 무료로 쓸 수 있도록 한 로밍 서비스를 사례로 언급했다. 그는 "기업이 가진 유‧무형 자산을 이해관계자와 공유하거나 혁신적인 기술로 부가가치를 키우는 시도가 더 많아져야 사회적 가치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며 "SK와 함께 많은 기업이 동참하길 바란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