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사람중심 세계화" 모색..트럼프, 시진핑 빠진 다보스포럼 개막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 세계 정치.
경제 지도자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이 22일(현지시간) 스위스 다보스에서 나흘일정으로 개막됐다.
클라우스 슈밥 다보스포럼 창립자는 개막연설에서 "세계화의 네 번째 물결은 사람중심이 돼야 하고 포괄적이며 지속 가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제무대 첫 데뷔 브라질 대통령 세일즈외교
전 세계 정치.경제 지도자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이 22일(현지시간) 스위스 다보스에서 나흘일정으로 개막됐다.
49회를 맞은 다보스포럼은 ‘세계화 4.0:4차 산업혁명시대 글로벌 아키텍처 형성’이라는 주제로 앙겔라 메르켈 총리 등 64개국 정상과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사무총장 등 40여개 국제기구 대표,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 영국 윌리엄 왕세손 부부 등 3,000여명의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다.
하지만 올해 포럼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연방정부 ‘셧다운’여파로 불참했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도 최측근 왕치산 부주석을 대신 참석시켰다.
또 브렉시트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테레사 메이 영국 총리와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 등 주요 7개국 정상들이 대거 불참해 반쪽 잔치로 전락했다.
올해 다보스 포럼은 ‘세계화 4.0’이란 대주제아래 ▲ 평화를 위한 글로벌 차원의 대화.협력 증진 ▲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반영하는 경제와 미래 ▲ 신기술관련 산업시스템과 기술정책 ▲ 인적자원과 사회 ▲ 제도적 개혁 등을 위한 대화 등이 세부주제로 다뤄진다.
클라우스 슈밥 다보스포럼 창립자는 개막연설에서 “세계화의 네 번째 물결은 사람중심이 돼야 하고 포괄적이며 지속 가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올해 다보스 포럼은 무역전쟁과 포퓰리즘 등 세계화를 가로막는 장벽에 맞서 인적.물적 자원의 이동을 가속화하면서 빈부격차와 기술에 의한 인간소외, 환경파괴에 대응하는 방안을 모색할 전망이다.
기조연설은 자이르 보우소나루 브라질 대통령이 맡아 지난 1일 취임한 이후 이날 국제외교무대에 데뷔했다.
브라질의 트럼프로 불리는 보우소나루 대통령은 재정균형과 시장개방 등 새 정부의 친시장 정책을 소개하면서 정치.이념적 차이을 떠나 경제협력을 확대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포럼 참석자들은 전날 미 정부의 공격적 통상정책과 셧다운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를 냈고 국제통화기금(IMF)은 세계경제 불확실성을 완화하기 위해 미.중이 통상갈등을 풀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 노컷뉴스 영상 구독하기
[CBS 노컷뉴스 임형섭 기자] sophie@cbs.co.kr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반도 리뷰] 북미정상 D-한 달? 비핵화 협상 막전막후
- 물불 안가리는 최저임금 공격..아동센터·홍석천도 제물로
- '프리랜서 성희롱 금지법'..300일째 국회는 침묵중
- 재판 '예고편' 영장심사..檢vs양승태 불꽃 '법리공방'
- 판 커질 남북경협? 제2의 개성공단사태 대책은 없다
- 문 대통령 "광화문 집무실 이전비용 국민 공감할까? 회의적"
- 폼페이오 "2차 북미정상회담 비핵화 이정표 될 것"
- [영상]클락션으로 촉발된 주차시비.."벽돌까지 들어 위협"
- 인권위 "특조단 꾸려 1년간 '체육계' 미투 집중조사"
- "망우동 모녀, 동사무소 레이더망에 못 들어온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