꽉 찬 스마트폰 '속' 정리했더니 세상에 '속'이 다 후련! 디지털 미니멀리즘

장회정 기자 2019. 1. 11. 17: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ㆍ디지털 미니멀리즘 실천기

이제 손에서 떼어놓을 수 없는 생존 필수품이 된 스마트폰은 동시에 심적 압박감을 주는 존재가 됐다. 지금 이 시각에도 빨간색 실리콘 케이스를 곱게 입은 스마트폰은 838통의 e메일, 19개의 소셜미디어 알림, 50개 이상의 뉴스 알림, 266개의 은행 및 카드사 알림을 공지하며 나의 ‘확인’을 요구하고 있다. 4대의 스마트폰을 거치며 차곡차곡 저장된 수만장의 사진은 더 큰 용량의 ‘비싼’ 스마트폰을 사라는 부담감이 된 지 오래다. 스마트폰 사용 10년차, 특단의 대책이 필요했다. 이른바 ‘디지털 미니멀라이프’를 실천하고 있는 여행블로거(여행가세라 blog.naver.com/sera8668) 권세라씨는 “디지털 기기 사용 시간을 체크한 뒤 불필요한 것부터 줄여 나가라”라고 조언한다.

■ 불필요한 것부터 삭제하라

2015년 일본의 유명 정리 컨설턴트 곤도 마리에의 강연을 들은 뒤 미니멀라이프에 눈을 뜬 권씨는 1년 사이 2번의 이사를 계기로 정리하는 삶을 실천하기 시작했다. 그 종착지가 디지털 미니멀라이프였다. 첫 번째로 손을 댄 것은 스마트폰이다. 일단 지난 1년간 한 번도 사용하지 않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을 삭제했다. 모바일 앱 분석기업 앱애니에 따르면 2017년 한국인은 하루 평균 3시간 모바일 앱을 사용했다. 이는 세계 최고 수준이다. 권씨는 자신의 스마트폰 사용 시간과 앱 이용 패턴을 확인해보기를 권했다. 스마트폰의 목표 사용 시간을 설정하고 실제 사용 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앱을 활용하면 된다.

“e메일 정리를 하다가 지난 4년간 일본 친구가 보내온 신년카드를 뒤늦게 발견했어요. 방대한 메일 사이에 묻혀 있어 확인하지 못했던 거죠. 불필요한 e메일의 수신 거부를 하는 데에만 꽤 많은 시간이 걸렸어요. 그 과정을 거치고 나니 e메일은 진짜 필요한 사람과 소통하는 창구가 됐어요.”

권씨 역시 매년 신년계획을 세울 때마다 ‘청소’를 리스트에 올리는 사람 중 하나였다. 해야 할 일은 넘쳤고 늘 뭔가 정리되지 않은 찜찜함이 가시지 않았다. 지난 연말, 권씨는 큰 맘 먹고 2만장이 넘는 스마트폰 속 사진을 지웠다. 매일 들여다보는 스마트폰과 컴퓨터를 정리하자 시야가 트이는 느낌이 들었다.

“컴퓨터를 켜면 딱 필요한 일만 하게 되지 않잖아요. 불필요한 것도 검색하고 살 생각도 없는 옷을 들여다보게 되죠.”

즐겨찾기와 파일 정리에 들어갔다. 즐겨찾기 리스트에 있지만 1년에 한 번도 방문하지 않은 사이트가 30% 이상이었다. 중요한 사이트는 별도로 남겨두고 나머지는 리스트에서 없앴다. 컴퓨터 사용 시간이 확연히 줄었다. 슬슬 욕심이 났다.

쌓여만 가는 사진 수만 장 새 폰 사도 모자란 저장 공간 수시로 울리는 푸시와 알림 이건 뭔가 아니다 싶어

사진·파일 과감히 지우고 스마트폰 흑백으로 바꾸고 사용 제한 시간 적용하니… 되려 세상에 더 집중하게 돼

스마트폰아 네가 아무리 날 불러도 이젠 끌려다니지 않을테다

“컴퓨터 사용 시간을 체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있어요. 실제로 제가 하루 6시간 이상 사용하고 있었어요. 이를 토대로 작업 시간을 5시간에서 3시간으로 차차 줄였고 이후에는 월·수·금요일을 컴퓨터 작업일로 정해서 지키고 있어요. 만약 컴퓨터 사용 시간을 줄이는 것이 뜻대로 되지 않는다면 조금 극단적이긴 하지만, 맞춰놓은 시간에 강제로 컴퓨터가 종료되는 타이머 기능을 사용해보세요.”

새 소식을 놓치지 않을까, 중요 이벤트 참가에 뒤처지는 것은 아닐까. 각종 앱에서 날아드는 ‘알림(푸시)’을 끄는 것은 현대인에게 제법 용기가 필요한 일이다. 일에 집중해야 하는 시간이면 권씨는 과감하게 카카오톡 알림을 껐다. 권씨에게 디지털 미니멀라이프는 곧 디지털 디톡스(디지털 중독을 해소하기 위해 디지털 기기 사용을 줄이고 휴식을 취하는 것을 해독 요법에 비유한 용어)였다.

“생각보다 많은 시간을 스마트폰과 컴퓨터에 빼앗기고 있었어요. 컴퓨터 사용 시간을 줄여도, 카카오톡을 조금 늦게 확인해도 제 커리어에 아무 지장이 없었어요. 시간은 돈으로 살 수 없는데, 습관적으로 낭비했던 지난날을 반성하게 됐죠.”

권씨는 ‘스스로 만든’ 시간에 책을 읽고 사람을 만나고 운동을 하고 있다. 디지털 미니멀라이프의 만족도는 주변에 권할 정도로 높다. 가끔 지인들과 만나면 대화에 집중하기 위해 스마트폰을 테이블에 올려두고 이를 가장 먼저 만지는 사람이 밥값을 치르는 게임을 하기도 한다.

■ 디지털 미니멀라이프 = 디지털 디톡스

이래도저래도 안된다하면 극단적인 방법으로 종료타이머도 괜찮습니다.

디지털 미니멀라이프는 말 그대로 단순명료한 삶을 지향하는 미니멀라이프의 디지털 버전이다. 눈에 보이지 않는 디지털 세계야말로 정리·정돈의 압박감에서 자유로운 공간이다. IT칼럼니스트 김국현씨는 “일단 디지털은 일상의 미니멀리즘이 가치를 두는 ‘버리다’에 집착할 필요는 없다”고 했다. “클라우드의 용량이 아무리 늘어나도 어지러운 방이나 책상처럼 정신을 소진하지는 않기” 때문에 클라우드나 파일 정리를 일종의 “자기만족”으로 해석하기도 했다. “바탕화면이나 앱 지우기 같은 것 외에 파일 및 클라우드 정리를 굳이 할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앱은 현재와 미래의 방해요소이니 이를 최소화하고, 바탕화면은 책상의 메타포이니 책상 정리하듯 하시면 될 듯합니다.”

컴퓨터교육학 박사과정을 수료한 회사원 김민자씨는 “검색이 힘들고 유용성이 떨어진다”는 이유 외에도 방만한 데이터를 정리해야 할 당위성을 말한다. “시스템적 차원으로, 디지털 환경은 가상환경이라 생각하기 쉽지만, 물리적 실체가 없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라는 것이다. CD, USB, 외장하드, 클라우드도 다 돈이 드는 저장공간이니 말이다.

“우리가 웹상에서 이용하는 프로그램은 서버라는 곳에 저장됩니다. 또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도 데이터를 생산·저장하는 데 필요한 물리적 실체죠. 이 자원은 당연히 그것을 만들기 위해 자원을 추출하고 생산하고 관리하고 폐기하는 단계를 거칩니다. 각 단계는 에너지를 사용하고 인간과 환경에 영향을 미칩니다. 디지털 기기의 중요한 부품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콜탄이 콩고의 오랑우탄 서식지를 파괴하고 내전을 일으키고 여성을 강간의 위험에 놓이게 하고 아이들을 노동현장으로 밀어 넣는다는 것은 공공연한 사실이죠.” 김민자씨는 에코 미니멀리즘의 관점으로 대안적 삶을 탐구하는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다.

디지털 환경의 정리·정돈을 일컫는 용어가 명확히 정립된 것은 아니다. 디지털 미니멀라이프는 디지털 데이터 정리를 일컫는 ‘디지털 대청소’와 동의어로 쓰이는가 하면, 권세라씨의 경우처럼 기기 사용에 중점을 둔 디지털의 디톡스 개념을 동반하기도 한다. 김국현씨는 “구글은 ‘디지털 웰빙’, 애플은 ‘디지털 헬스’라고 쓰고 있다”고 일러줬다.

김민자씨는 “인터넷 중독, 모바일 중독, 모바일 의존 등의 개념이 생겨나면서 디지털 기기 사용을 줄이자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며 “좀 더 가치 있는 것에 집중하기 위해 디지털 자원도 미니멀하게 정리하는 이들도 많다”고 전했다. 일상생활에 꼭 필요한 물건만을 두는 단순한 삶을 추구하는 미니멀라이프 관련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자들 사이에서 ‘디지털 미니멀리즘’이 화두가 된 것은 전혀 이상한 일이 아니다.

디지털 시대, 나날이 바뀌는 업무환경 속에서 몰입하는 법을 다룬 <딥 워크>의 저자 칼 뉴포트 조지타운대 컴퓨터공학과 교수는 2월 초 출간하는 <디지털 미니멀리즘>을 통해 “디지털 미니멀리즘은 점점 시끄러워지는 세상에서 집중하는 삶을 살기 위한 열쇠”라고 말한다. 그가 말하는 ‘디지털 미니멀리스트’는 휴대전화를 들여다보지 않고 긴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차분하고 행복한 사람이자, 좋은 책을 읽고 목공 작업을 하며, 여유로운 아침 달리기를 하느라 길을 잃을 수도 있는 사람이다. 뉴포트 교수가 정의하는 미니멀리즘은 ‘나에게 충분한 적정선을 아는 기술’이다. 좋은 기술(디지털 기기)을 딱 필요한 만큼만 사용하자는 취지다.

김국현씨가 조언하는 디지털 미니멀라이프의 첫 단추는 “스마트폰이 나를 부르는 일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권세라씨가 카카오톡 알림을 끈 것이 대표적인 예다. 김씨는 구글의 디자인 윤리 담당자 출신으로 스마트폰 중독의 위험성을 알리는 활동을 하고 있는 트리스탄 해리스의 팁을 전했다. 방법은 간단하다. 스마트폰 화면을 흑백으로 바꾸는 것. 밝고 현란하며 손가락만 까딱해도 온갖 재밋거리가 넘치는 스마트폰은 슬롯머신과 다를 바 없다며 흑백 모드가 그 흥미를 반감시키는 데 일조한다는 주장이다.

미뤄두었던 과업을 청산하기 좋은 신년이다. 김민자씨는 올 초 60기가바이트(GB) 휴대전화 용량의 절반가량을 차지하고 있던 사진, 동영상, 음악 데이터를 정리했다. 지난 데이터는 컴퓨터에 백업해두고, 딱 올해의 사진과 영상만 남겼다. 필요한 사진을 찾을 때마다 한참 동안 스크롤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사라졌다. “만족도는, 5점 만점에 5점이에요.”

▶디지털미니멀라이프 실천노하우

비슷하면 삭제, 방문 안 하면 탈퇴…메일 정리는 매일

1 쌓여 있는 데이터 정리가 부담스럽다면 구역을 나눠 매일 혹은 일주일에 한 번 시간을 정해놓고 정리한다. 스마트폰, 외장하드, USB, 클라우드, e메일, SNS, 온라인 카페 등 모두 정리 대상이다.

2 중복 자료는 삭제하고, 비슷한 자료 중에서는 하나만 남긴다. 이때 자신만의 기준을 정한다. 예를 들어 마지막 수정일이 3년 전인 데이터는 삭제, 전 직장과 지난 학년의 파일은 가장 중요한 것만 남기고 삭제, 여행 사진은 날짜별 30장만 선택하고 삭제, 더 이상 방문하지 않는 온라인 카페와 SNS는 탈퇴, 3개월 이상 사용하지 않는 앱은 삭제 등.

3 내공이 쌓인다면 분기별, 1년 단위 등 기간별로 기준을 정해 주기적으로 정리한다. e메일이나 사진은 쉽게 쌓이니 매일 정리해두는 것이 좋다.

4 디지털 기기 사용의 경우, 물리적 제약을 두는 것도 방법이다. 모바일 데이터 용량이 적은 요금제로 바꾸거나 보유하고 있는 디지털 기기를 정리한다.

5 ‘하루 웹서핑 1시간’ 기준을 정해두고 이를 지켰을 경우 스스로에게 상을 주고, 지키지 못한 경우 벌을 준다. 컴퓨터나 스마트폰의 사용 시간 제한 기능을 활용해도 된다.』

장회정 기자 longcut@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