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워 사라진 멸종위기종 '분홍장구채' 철원 DMZ에 산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분홍색 꽃이 예쁘다는 이유로 무분별하게 채취돼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식물로 지정된 '분홍장구채'가 비무장지대(DMZ) 민간인통제구역인 강원도 철원 일대에서 발견됐다.
국립생태원은 이번에 분홍장구채 생육이 확인된 용양보 일대를 습지보호지역 등으로 지정할 것을 환경부에 건의하고 지자체, 유역환경청 등과 보호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환경부에 '습지보호지역' 지정 건의
【서울=뉴시스】임재희 기자 = 분홍색 꽃이 예쁘다는 이유로 무분별하게 채취돼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식물로 지정된 '분홍장구채'가 비무장지대(DMZ) 민간인통제구역인 강원도 철원 일대에서 발견됐다.
환경부 산하 국립생태원은 올해 5월부터 DMZ 일원 생태계를 조사해 높이 5m, 폭 150m 구간 일부 암벽에서 분홍장구채 105개체가 살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에 분홍장구채가 발견된 용양보 일대는 농경지의 용수 공급용으로 일제 강점기에 만들어진 저수지로 6·25 전쟁 이후 민간인통제구역에 속해 있다. 현재는 자연적 습지형 호수로 보존되고 있다.
국립생태원은 이번에 분홍장구채 생육이 확인된 용양보 일대를 습지보호지역 등으로 지정할 것을 환경부에 건의하고 지자체, 유역환경청 등과 보호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석죽과에 속하는 분홍장구채는 강원도 영월에서부터 압록강까지 분포하는 북방계 식물로 주로 가파른 절벽의 바위틈에서 자란다. 가는장구채 등 다른 장구채속(屬) 식물들과 달리 10~11월 분홍색 꽃을 피우는 게 특징이다.
한 때 분홍색 꽃이 아름답다는 이유로 무분별한 채취와 훼손으로 멸종위기에 처하면서 환경부가 2012년부터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하기에 이르렀다. 현재 강원도 철원, 홍천, 영월을 비롯해 경기도 연천 및 포천 일대에 드물게 분포한다고 알려졌다.
박용목 국립생태원장은 "1974년 이후 정부에서 발행한 각종 DMZ 생태 조사 자료와 국립생태원 자체 조사 결과를 취합하면 DMZ 일대에 101종의 멸종위기 야생생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파악된다"며 "앞으로 멸종위기종의 중요한 서식처가 되는 DMZ에 대해 지속적으로 자연환경을 조사하여 국내외 생물다양성 보전 연구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limj@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봉원, 1억5000만원 외제차 박살…"300만원 날렸다"
- '남편 보석 석방' 성유리, 옥바라지 끝 요정 미모
- 변호사도 '신지♥문원' 결혼 반대…"한다면 '부부재산약정' 작성해라"
- '11.6㎏ 감량' 노홍철, 살 빼니까 영화배우 같네
- 신동, 위고비도 이긴 식욕 "배달앱 1개 1년 식비만 1449만원"
- '박수홍♥' 김다예, 30㎏ 감량 후 물오른 미모
- 신지, 스토킹 피해 고백 "문원이 지켜주겠다고…"
- 이효리, 1000만원 승려룩 논란 "명품 협찬"
- 김창완, 알코올 중독 고백…"주변 도움 필요하더라"
- 박서준, 게장집에 손배소 왜? "60억 아닌 6천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