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취해소제는 '비싼 음료수'? 효과 논란 왜 계속되나

한희준 헬스조선 기자 2018. 12. 7. 09:1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숙취해소제 효능 점검

술자리가 있는 저녁이면 편의점으로 향하는 사람이 많다. 숙취해소제를 사 먹기 위해서다. 숙취해소제를 먹으면 정말 숙취를 없애는 데 도움이 될까?

◇藥 아닌 '음료'

숙취해소제 한 해 시장 규모는 2000억원으로 추산되며(닐슨코리아, 판매가 기준), 관련 특허 출원 건수는 매년 30~40건에 달한다(특허청). 특히 연말에는 술자리가 많아서 판매량이 20~30% 증가한다. 그만큼 숙취해소제가 숙취를 덜어줄 것이란 믿음이 큰 편이다. 하지만 "숙취해소제는 음료일 뿐"이라는 주장이 많다. 숙취해소제는 주로 편의점 등에서 판매하는데, 이런 제품들은 제품 유형이 혼합음료, 기타가공품, 액상차 등으로 분류돼 있다. 약이 아닌 것이다.

편의점에서 흔히 사먹는 숙취해소제는 약이 아니라 음료다. 숙취 해소 효과를 객관적으로 알기 어렵다. 전문가들은 비싼 돈을 주고 숙취해소제를 사먹기 보다 차라리 꿀물을 타 마시는 게 더 효과적이라고 말한다. /신지호 헬스조선 기자

숙취해소제를 생산하는 회사조차 숙취해소 효과에 대한 근거를 명확하게 제시하지 않는다. 시장 점유율이 높은 숙취해소 제품을 판매하는 제약회사·식품회사네 곳을 취재했지만 관계자들은 "숙취해소제는 음료·가공식품이라서 약이나 건강기능식품 수준의 효과를 기대하면 안 된다"고 답했다. 숙취 해소 효과를 객관적으로 증명할 수 있냐는 질문에는 "해당 제품은 식품에 해당하기 때문에 임상을 따로 진행하지 않았다" "숙취 해소 효과를 보기 위해 임상을 진행했지만 시험 대상이 매우 적어 공개하기 어렵다"는 등의 답변을 내놨다. 한 곳에서는 특허 출원 시 시행한 임상 결과를 제공했으나, 대상 인원이 11명으로 적고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한 것이라서 객관적인 숙취 해소 효과를 알기엔 한계가 있었다.

◇"효과에 비해 비싸"

숙취해소제의 효용성을 이해하려면 숙취가 왜 생기는 지 알면 도움 된다. 숙취의 정확한 원인을 밝혀낸 연구는 아직 없지만 ▲아세트알데하이드(알코올 대사 산물) ▲몸속 수분·포도당 부족 ▲숙면 부족 ▲알코올에 의한 혈관 확장 ▲호르몬 불균형 ▲술자리에서의 에너지 소모 등이 꼽힌다. 숙취해소제에는 대부분 아세트알데하이드 분해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진 식품·추출물이 들어가 있다.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장은선 교수는 "일정 부분 효과를 낼 수는 있겠으나 임상적 근거가 매우 약하다"며 "특정 식품을 섭취한다고 아세트알데하이드를 완전히 없앨 수 있는 게 아니고, 아세트알데하이드를 해결한다고 숙취가 한 번에 사라지는 건 더더욱 아니다"라고 말했다.

술을 마시면 알코올 대사 과정에서 포도당과 수분이 부족해지기 쉬운데, 포도당과 수분이 부족하면 피로감·어지럼증·두근거림·근육통·두통이 생긴다. 또 같은 시간을 자더라도 숙면이 안 이뤄져 피로감·무기력감 같은 숙취가 느껴진다. 순천향대 부천병원 가정의학과 이희정 교수는 "숙취해소제는 당류 함량이 높아서 수분·당류 보충에 도움은 되겠지만, 얻을 수 있는 효과에 비해 비싼 편"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대부분 숙취해소제는 1회분이 4000~6000원이고, 1만원이 넘는 제품도 있다. 이 교수는 "비용을 고려한다면 차라리 꿀물이 낫다"며 "부족해진 수분과 포도당뿐 아니라 아세트알데하이드를 해독하는 데 필요한 아미노산을 한 번에 섭취할 수 있다"고 말했다.

◇술 마시기 전엔 '무용지물'

숙취해소제를 애용하는 사람들은 숙취해소제 두 병을 사서 한 병은 음주 전, 나머지 한 병은 음주 후에 마신다. 그러나 음주 전에 숙취해소제를 마시는 것이 숙취해소를 돕는다는 근거가 빈약하다. 이희정 교수는 "숙취는 술을 마신 후 겪는 것"이라며 "술을 어느 정도 마신 뒤에야 아세트알데하이드가 생기기 시작하고, 수분·포도당이 부족해지므로 굳이 술 마시기 전부터 숙취해소제를 먹어둘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장은선 교수는 "숙취해소제를 먹었으니 덜 취할 것이라는 착각 때문에 오히려 과음할 위험도 있다"고 말했다. 빈 속에 술을 마시는 것보다 나을 수는 있겠지만, 숙취해소제는 보통 액체나 환 형태로 돼 있어서 위장 점막을 보호하는 효과가 크진 않다.

◇약국서 파는 숙취해소제는 肝 약

약국에서 숙취해소제로 주는 약들은 대부분 간질환 치료제로 나온 것들이다. 간장약의 주 성분은 담즙 분비를 돕는 UDCA, 간세포 항산화 작용을 돕는 실리마린, 산화질소 양을 늘려 간 기능을 높이는 아르기닌, 간에 지방이 덜 쌓이도록 하는 베타인 등이다. 헬스조선 약사자문위원 김예지 약사(대구가톨릭대 외래교수)는 "간 기능이 잘 이뤄지도록 도와 알코올을 빨리 분해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는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런 약들도 숙취를 근본적으로 없애주는 건 아니다. 숙취는 알코올 자체가 아니라 알코올 대사 산물인 아세트알데하이드가 일으키기 때문이다. 아세트알데하이드에 직접 작용하는 약은 없다.

- Copyrights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