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문재인 대통령 “연내 서울 답방, 김정은 위원장 결단에 달려”
아르헨티나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를 마친 문재인 대통령이 1일 오후(현지시간) 다음 방문지인 뉴질랜드로 향하는 공군 1호기 기내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文 대통령, ‘서울답방’ 김정은 결단에 달려
- 트럼프, 文 대통령에게 “김정은 바라는 바 트럼프가 이뤄주겠다”


[부에노스아이레스·오클랜드 = 홍석희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연내 ‘서울 답방’ 가능성에 대해 “김 위원장의 결단에 담겨 있다”고 말했다. 남북정상이 다시 만나는 것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이 ‘비핵화 모멘텀’이 될 것이란 의사를 확인했으니 이제 남은 것은 김 위원장의 결단 뿐이란 설명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문 대통령에게 ‘김정은 바라는 바를 트럼프가 이뤄주겠다’는 말을 들었다고 새롭게 공개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1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에서 뉴질랜드로 향하는 ‘공군 1호기’ 기내 기자 간담회에서 “김정은 위원장의 연내 답방은 그냥 가능성이 열려 있다. 김정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이 지금 북미 간 비핵화 대화에 대해서도 아주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모멘텀이 될 것이다라는 점에 트럼프 대통령과 같은 인식을 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또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 위원장이 연내 서울에 답방할 경우에 김정은 위원장에게 그 메시지를 전해 달라는 그런 당부를 저한테 하기도 했다”며 “김정은 위원장이 바라는 바를 자기(트럼프 대통령)가 이루어 주겠다, 이런 메시지를 전해 달라는 당부를 하기도 했다”고 소개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김 위원장이 연내 답방할지는 김정은 위원장의 결단에 달려있는 문제다. 그것은 조금 더 지켜보도록 합시다”며 “김 위원장이 연내 답방을 할지 여부는 아직으로서는 알 수는 없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또 “어제 트럼프 대통령과의 회동을 통해서 한 가지 우려를 덜은 것은 혹시 북미 간에 2차 정상회담이라든지 또는 고위급 회담이 이루어지기 전에 남북 간에 먼저 또 답방이 이루어지면 혹시라도 그런 것이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을까 이런 염려가 없지 않았는데, 어제 트럼프 대통령과의 회동을 통해서 그런 우려는 말끔히 사라졌다라는 말씀을 드릴 수 있겠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전날 트럼프 대통령과 만났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서울 방문이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의 추가 모멘텀’이라고 평가한 바 있다.

문 대통령은 남북철도연결 ‘착공식’은 국제사회의 제재위반 가능성이 있으니 ‘착수식’ 정도는 가능할 것이라 소개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철도는 우리가 남북 간의 관계 발전을 위해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그것은 국제적인 제재의 틀 속에서 우리가 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남북 간 철도 연결을 위한 사전조사 연구 작업, 그것도 미국과 충분한 협의를 거친 것”이라며 “실제로 착공 연결하는 일을 한다면 그것은 국제 제재에 저촉될 소지가 있다. 그래서 그 부분에 대해서는 또 다시 미국과, 또는 유엔 안보리와의 사이에 추가적인 협의가 필요한 사안”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착공이 아니라 어떤 일을 시작한다는 하나의 ‘착수식’이라는 의미에서 착수식은 할 수 있지 않을까 그런 생각은 가지고 있는데, 그것까지도 앞으로 미국과 충분히 협의를 해 보려고 한다”고 강조했다. h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