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초 왕실 불심' 깃든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 보물 된다

2018. 11. 28. 09:3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문화재청은 조선 초 왕실의 불교 신앙을 보여주는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57호)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고 28일 밝혔다.

이 사리탑은 경기도 남양주시 운길산 수종사 대웅전 옆에 자리한 석조탑이다.

문화재청은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은 형태가 완전히 남아 있으며 왕실에서 가지고 있던 사리가 탑 안에 봉안됐다"라면서 "조선 초 왕실 불교 신앙과 그 조형의 새 경향을 알려준다는 점에서 보물 지정가치가 있다"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태종 딸 정혜옹주 위해 조성한 명문 확인..사리도 봉안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맨 왼쪽) [문화재청 제공]

(서울=연합뉴스) 정아란 기자 = 문화재청은 조선 초 왕실의 불교 신앙을 보여주는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57호)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고 28일 밝혔다.

이 사리탑은 경기도 남양주시 운길산 수종사 대웅전 옆에 자리한 석조탑이다.

두 단으로 된 8각 기단 위에 둥근 탑신을 올리고 지붕돌, 머리 장식을 더한 형태로, 전체 높이는 2.3m다.

지붕돌 낙수면에는 '太宗 太后/貞惠 翁主/舍利 造塔/施主 文化 柳氏/錦城 大君 正統/四年 己未 十月日(태종 태후/정혜 옹주/사리 조탑/시주 문화 류씨/금성 대군 정통/사년 기미 십월일)'이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다.

태종의 첫째 후궁인 의빈 권씨가 정혜옹주 사리탑을 조성했으며, 문화 류씨와 금성대군이 시주했고, 정통 4년 기미년(1439년) 10월에 세웠다는 내용이다.

이를 통해 조선 왕실 발원으로 조성된 탑임을 알 수 있다.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 사리장엄구 [문화재청 제공]

출생연도가 정확하지 않은 정혜옹주는 1424년 세상을 떠났다. 1426년 세종의 여섯째 아들로 태어난 금성대군이 정혜옹주 사리탑에 시주한 것은, 의빈 권씨가 금성대군을 맡아 기른 인연 때문으로 보인다.

문화재청은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은 형태가 완전히 남아 있으며 왕실에서 가지고 있던 사리가 탑 안에 봉안됐다"라면서 "조선 초 왕실 불교 신앙과 그 조형의 새 경향을 알려준다는 점에서 보물 지정가치가 있다"고 밝혔다.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은 30일간의 의견 수렴과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보물로 지정된다.

남양주 수종사 부도 [문화재청 제공]

airan@yna.co.kr

☞ 배현진 기사에 인신공격 악플…잡고보니 50대男
☞ '막장드라마계 헨델' 김순옥 작가 '황후의 품격'에 우려
☞ "낼도 모텔 가는데"… 사제지간 '부적절 관계' 또 파문
☞ "땡큐 박항서"…베트남, 한국의 복수비자 허용에 환호
☞ 부모에 발목잡힌 연예인…고도의 도덕성 요구에 '진땀'
☞ 이재명 "아내 자유롭게 되길"…휴대전화엔 '이쁜마눌님'
☞ 양심적 병역거부자 대체복무 '36개월 교도소 합숙' 가닥
☞ 마마무 휘인, 친부 사기설에 "연락 끊긴 분…해결 노력"
☞ 美인기만화 '스폰지밥' 만든 힐렌버그, 57세로 별세
☞ 부모가 아이에게 스마트폰 쥐어주는 이유는?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