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단독]"한밤에 춤추는 불빛"..송편 모싯잎 1000t 따는 그들

최경호 2018. 9. 24. 03:0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추석 앞둔 '밤샘 모싯잎 채취' 현장 가보니
축구장 100개 면적서 연간 1050t 잎 생산
영광 모싯잎송편, 한해 전국에 280억 판매
추석을 앞두고 전남 영광 지역 이주여성과 농민들이 새벽 어둠이 깔린 밭 사이를 다니며 모싯잎을 따고 있다. 기존 송편에 모싯잎을 넣은 송편은 한해 280억 원어치가 전국으로 팔려나간다. [프리랜서 장정필]



‘야간 수색’ 같은…새벽어둠 속 모싯잎 따기
지난 19일 오전 3시 전남 영광군 백수읍 답동마을 내 모시밭. 칠흑 같은 어둠 속에서 붉은색 불빛 20여 개가 쉴 새 없이 번쩍였다. 새벽에 모싯잎을 따기 위해 농민들이 쓴 헤드 랜턴에서 흘러나온 불빛이다. 작업자들은 추석 대목을 맞아 송편에 들어갈 모싯잎을 따느라 연신 구슬땀을 흘렸다. 모시밭 곳곳을 비추는 헤드 랜턴은 냉동 트럭에서 쏜 서치라이트 불빛과 어우러져 새벽녘 장관을 이뤘다. 작업을 지휘하던 노경호(42·영광군)씨는 “밀려드는 주문 물량을 맞추느라 불볕더위가 기승을 부리던 한여름부터 거의 매일 밤을 지새우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굴비로 유명한 영광에서는 새로운 명절 특산품이 뜨고 있다. 떡을 만드는 쌀에 모싯잎을 섞어 만든 모싯잎송편이다. 기존 송편에 모시의 산뜻한 맛과 향을 더함으로써 연중 전국으로 팔려나가는 히트 상품이 됐다. 영광군은 모싯잎 송편으로만 한 해 280억 원(3360t)의 매출을 올린다. 송편 매출로는 전국 최고 수준이다.

추석을 앞두고 전남 영광 지역 이주여성과 농민들이 새벽 어둠이 깔린 밭 사이를 다니며 모싯잎을 따고 있다. 기존 송편에 모싯잎을 넣은 송편은 한해 280억 원어치가 전국으로 팔려나간다. [프리랜서 장정필]


헤드 랜턴에 서치라이트…모기·해충과의 사투
송편 판매량이 많다 보니 영광 지역 농가들은 명절마다 ‘전쟁’을 치르곤 한다. 송편의 재료인 모싯잎과 동부·쌀 등을 송편 가공공장에 시간 맞춰 납품해야 해서다. 이중 모싯잎은 한밤중에 이뤄지는 고된 작업을 거쳐야만 수확이 가능하다.

기온이 높은 낮에 따면 금방 시들어 상품성이 떨어지는 특성을 고려한 고육지책이다. 통상 오전 1시부터 8시 사이에 진행되는 작업에는 베트남·태국·라오스 출신의 이주여성들이 대거 투입된다. 작업자 수십명이 머리에 찬 헤드 랜턴을 비춰가며 잎을 따는 모습은 야간 수색작업을 방불케 한다. 주민 김순례(66·여)씨는 “모싯잎은 따놓으면 자체적으로 열이 난다”며 “잎이 든 포대 안에 손을 넣으면 뜨거울 정도여서 반드시 밤에 따야 제값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새벽에 진행되는 모싯잎 채취는 완전무장이 필수적이다. 야간에 모기나 해충들과 싸워가며 작업을 하는 탓에 비옷과 장화를 반드시 착용한다. 숙달된 작업자들은 도란도란 이야기를 나누면서도 하루 최대 200㎏의 모싯잎을 채취한다. 일당은 10㎏당 1만원씩 계산돼 한 번에 20여만 원까지 손에 쥘 수 있다. 7월부터 10월까지 진행되는 모싯잎 수확 기간에만 1000만원을 버는 농민도 있다. “영광에서는 모싯잎만 잘 따도 집을 산다”는 우스갯소리가 나올 정도다.
추석을 앞두고 전남 영광 지역 이주여성과 농민들이 새벽 어둠이 깔린 밭 사이를 다니며 모싯잎을 따고 있다. 기존 송편에 모싯잎을 넣은 송편은 한해 280억 원어치가 전국으로 팔려나간다. [프리랜서 장정필]


“야밤에 춤추는 불빛…경찰 출동 소동도”
하지만 모두가 잠든 야간에 작업하는 탓에 뜻하지 않은 오해를 받기도 한다. 대형 모시밭의 경우 40여 명이 헤드 랜턴을 켠 채 작업을 하다 보면 경찰이 출동하기도 한다. 이달 초에는 영광~함평 간 서해안고속도로 인근에 있는 모시밭에 신고가 들어가 작업이 중단되기도 했다. 당시 신고자는 “도로 옆 숲속에서 수십 개의 불빛이 춤을 추고 있다. 수상하다”고 경찰에 알렸다.

축축한 밤이슬과 작업자를 향해 날아드는 해충들도 새벽 작업을 고되게 한다. 특히 태국이나 라오스 등에서 시집온 이주여성들은 큼지막한 애벌레나 나방을 보고 기겁을 하기 일쑤다. 모싯잎 채취가 진행되는 모시밭 곳곳에서 “악”하는 비명과 웃음소리가 동시에 쏟아지는 것도 외국인들에겐 생소한 벌레 때문이다. 영광의 모시밭은 농약을 쓰지 않아 ‘모시 벌레’로 불리는 큰멋쟁이나비 애벌레 등이 밭 곳곳에서 출몰한다. 라오스 출신인 뒤양(45·여)은 “차라리 모기는 괜찮은데 큰 벌레는 너무 무섭다”며 “한 번 벌레를 보면 20분 정도는 밭에 들어가기가 겁난다”고 말했다.
새벽부터 모싯잎 수확작업을 한 농민들이 아침 마무리 채취를 하고 있다. 기존 송편에 모싯잎을 넣은 영광 모싯잎송편은 한해 280억 원어치가 전국으로 팔려나간다. [프리랜서 장정필]


외국인엔 생소한 벌레들 출몰…비명과 웃음 쏟아져
영광에서는 예로부터 떡을 만들어 먹기 위해 모시를 수확해 왔다. 마을 입구나 텃밭에 모시를 심은 뒤 명절이면 송편이나 떡에 넣어 먹었다. 모싯잎송편은 1970년대 후반 영광시외버스터미널에 가판을 차린 할머니들에 의해 외부에 알려졌다. 전국적인 유통망을 갖춘 것은 떡 가공업체들이 상업적인 판매에 나선 2000년대 초반부터다. 이후 모싯잎송편은 독특한 맛과 함께 다이어트와 항산화 작용을 한다는 게 입소문을 타면서 전국으로 퍼져 나갔다. 식이섬유와 엽록소가 풍부한 웰빙식품이라는 점도 떡을 외면하던 젊은 층이나 어린이들의 입맛을 사로잡았다.

모싯잎송편의 인기는 떡 생산업체와 관련 농가들의 증가세에서도 확인된다. 상업화 초기인 2003년 15개였던 영광 지역 떡 가공업체는 현재 141곳까지 늘어났다. 주재료인 모싯잎의 수요도 늘어나면서 모시 재배면적이 70㏊(70만㎡)까지 증가했다. 현재 영광에서는 축구장(7140㎡) 100개 크기에 달하는 총 99개의 밭에서 한 해 1050t의 모싯잎이 생산된다. 연간 모싯잎송편을 만드는데 들어가는 국내산 쌀도 1397t에 달한다.

모싯잎 채취작업을 마친 농민들이 수확한 모싯잎의 양을 재고 있다. 영광 모싯잎송편은 한해 280억 원어치가 전국으로 팔려나간다. [프리랜서 장정필]


한해 4~5번 수확…한여름 밤 수익 주는 ‘효자 작물’
다년생인 모시는 한 번 종자를 심으면 8년 동안 안정적인 수확을 거둘 수 있다. 한 밭에서 매년 4~5회까지 잎 채취가 가능한 데다 무더위로 농사 짓기가 어려운 한여름에 짭짤한 수익을 주는 효자 작물로 통한다. 고현아(38·여) 영광군 떡산업육성담당 농촌지도사는 “송편 자체의 매출도 중요하지만, 국산 쌀과 모싯잎·동부 등 작물의 안정적인 재배를 돕고 농한기 때 일자리를 제공하는 등 경제적인 파급효과가 크다”고 말했다.
영광=최경호 기자 ckhaa@joongang.co.kr
새벽 어둠 속에서 모싯잎 수확을 마친 농민들이 모싯잎이 든 포대를 옮기고 있다. 기존 송편에 모싯잎을 넣은 영광 모싯잎송편은 한해 280억 원어치가 전국으로 팔려나간다. [프리랜서 장정필]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