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투데이

[아침 신문 보기] '해외출장 지원' 조사 어물쩍 끝나나 外

[아침 신문 보기] '해외출장 지원' 조사 어물쩍 끝나나 外
입력 2018-09-05 06:22 | 수정 2018-09-05 06:23
재생목록
    ◀ 앵커 ▶

    오늘 아침신문 보겠습니다.

    ◀ 앵커 ▶

    먼저, 국민일보입니다.

    공공기관들의 국회의원, 지방의원, 중앙 및 지자체 공무원 등에 대한 '해외출장 지원 실태조사'가 용두사미로 끝날 조짐이라고 합니다.

    국민권익위원회가 '해외출장 부당지원 소지가 있는 기관' 22곳의 명단을 발표하고, 감독기관에 조사 결과를 보고하라고 한지 한 달이 지났지만, 어제까지 단 한 건도 통보받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는데요.

    한편, 피감기관 입장에선 '위법 소지가 있다'는 결론을 내리기에도 현실적인 부담이 크다고 합니다.

    특히, 국회의원 38명과 관련한 출장에 위법 소지가 있다는 판단이 나오면 정치적 후폭풍이 거셀 수밖에 없기 때문에 조사결과를 발표하지 못한 채 눈치만 보고 있다고 신문은 설명했습니다.

    ◀ 앵커 ▶

    친구가 자주 드나든다는 이유로 관리비를 두 배 올리고, 주차비 명목으로 8만 원을 추가 요구하고. 청년 주거상담센터를 운영하는 한 시민센터에 접수된 실제 사례인데요.

    최근 오피스텔과 원룸 등 집합건물의 '거품 관리비'를 둘러싼 분쟁이 급증하고 있다고 합니다.

    아파트와 달리, 관리비에 대한 관련 규정이 없어 주먹구구식으로 부과되는 데다, 상세 내역을 공개하지 않는 등 불투명하게 운영되고 있기 때문이라는데요.

    그렇다 보니, 오피스텔과 원룸 중엔 인근 아파트 관리비보다 4~5배 비싼 곳이 수두룩한데, 서울 강남역 인근의 한 오피스텔의 경우, 최고급 주상복합으로 알려진 타워팰리스보다 관리비가 더 비싸다고 합니다.

    ◀ 앵커 ▶

    유통업계가 지난달부터 추석 선물세트 예약 판매에 나선 가운데, 2백만 원이 훌쩍 넘는 상품과 십만 원 이하 상품이 동시에 잘 팔리는 '양극화'가 두드러지고 있다고 합니다.

    김영란 법이 자리를 잡으면서 명절 선물 시장에 '선택과 집중 트렌드'가 확산됐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는데요.

    선물을 주고받아야 할 대상이 적어지면서 '이왕 할 바에야 제대로 감사 표시를 하자'며 고급 선물을 사는 사람이 증가한 반면, 부담을 느끼는 사람들을 위해선 십만 원 이하의 가성비 높은 제품을 고르는 경향이 짙어졌다는 겁니다.

    또, 이 시즌에는 평소 출시되지 않는 최고급 수준의 제품이 선물용으로 나오기 때문에 좋은 물건을 사두기 위한 수요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 앵커 ▶

    에너지 음료 '박카스'가 베트남 현지에서 국민 영웅으로 떠오른 박항서 감독 덕을 톡톡히 누리고 있다고 합니다.

    한류 스타를 뛰어넘는 인기를 누리는 박 감독을 홍보 모델로 내세운 뒤 3개월 동안 166만 개를 판매하는 등 십여 년 만에 베트남 시장에 안착했다는데요.

    박카스의 발음이 '박항서(바캉서)'와 비슷하다는 점도 인기 요인으로 꼽힌다고 합니다.

    ◀ 앵커 ▶

    제19호 태풍 '솔릭'이 전남 목포에 상륙한 지난달 23일.

    '기상콜센터'에는 그날 하루에만 1만 2천여 통의 전화가 걸려오는 등 말 그대로 '전화통에 불이 났다'고 합니다.

    신문이나 방송, 휴대전화로 날씨 소식을 실시간 접하는 시대지만, 기상콜센터에는 매년 1백만 통이 넘는 상담 전화가 걸려 온다는데요.

    콜센터를 이용하는 절반 가까이는 60대 이상이지만, 온라인에 익숙한 연령대의 이용률도 적지 않다고 합니다.

    또, 전화 상담 유형으론 강수예보에 대한 문의가 압도적으로 많지만 올해부턴 미세먼지에 대한 문의도 급증하고 있다고 합니다.

    ◀ 앵커 ▶

    누들 플랫폼, 인처너, 포트 오너, 시니어 리더스쿨.

    이름만 들었을 땐 어떤 정책인지 감이 오지 않는데요.

    서울신문은 지자체나 공공기관이 정책을 만들면서 영어나 국적 불문의 조어성 단어를 남발해, 주민들이 정책 취지를 이해하는데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시민들도 발음조차 헷갈리는 영어를 굳이 써야 하는지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는데요.

    정책명에 외국어가 들어가면 세련돼 보이거나 눈에 띌 것이란 인식이 오히려 정책의 대중성과 효율성을 떨어뜨리고 있다고 신문은 꼬집었습니다.

    지금까지 아침신문 살펴봤습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