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첫 5G' 타이틀, 한·중·미 누구 품에

김경진 입력 2018. 8. 16. 00:02 수정 2018. 8. 16. 06: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 이미 내년 3월 상용화 못박아
미국, 스프린트가 LG폰 공급 받고
버라이즌·AT&T는 망 구축 나서
중국은 5G 관련 5년간 82조 투자
5G Network Internet Mobile Wireless Business concept.
정부가 ‘세계 최초 5G(5세대 이동통신) 상용화’ 시점을 내년 3월로 못박은 가운데 미국·중국 등 ‘통신 강국’이 세계 최초 타이틀을 위협하는 존재로 부상하고 있다.

미국에선 4위 이동통신 사업자인 스프린트가 5G 상용화 경쟁에 출사표를 던졌다. LG전자는 15일 “내년 상반기 중 스프린트에 5G 스마트폰을 공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스프린트 측은 “LG전자의 스마트폰이 북미 첫 5G 스마트폰이 될 것”이라고 단언했다. 5G를 계기로 기존의 판을 뒤엎기 위해 미국 스마트폰 점유율 3위인 LG전자와 이동통신 4위가 손잡은 것이다. LG전자는 “세계 최대 프리미엄 시장인 미국에서 5G 스마트폰 주요 공급처를 확보했다는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스프린트는 손정의 일본 소프트뱅크 회장이 최대주주인 회사로, 미국 이통사 3위인 T모바일과 합병을 추진 중에 있다. 합병이 성사되면 시장점유율이 29%로 1위인 버라이즌(35%)과 2위인 AT&T(33%)와 더불어 ‘3강 체제’를 구축하게 된다. 통신사업의 특성상 기존 시장 질서를 바꾸는 것은 어려웠지만, 합병에 이어 5G 시장을 선제적으로 공략하면 ‘게임 체인저’로 부상할 가능성도 있다.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선두주자 간의 경쟁도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1위인 버라이즌과 2위인 AT&T가 앞다퉈 5G 서비스 구축 경쟁에 나서고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AT&T는 애틀랜타·댈러스·와코·텍사스 등 4개 도시에 5G망을 구축하겠다고 발표한 데 이어 올 7월에 3개 도시를 리스트에 추가했다. 앞서 버라이즌이 로스앤젤레스 등 4개 도시에 서비스 계획을 발표한 데 대한 ‘맞불’ 작전이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5G 서비스는 아니지만 5G 기술이 적용됐다는 점에서 무시할 수 없는 행보다.

중국의 추격도 만만치 않다. 미국 이동통신산업협회(CTIA)는 5G 관련 투자·지원에 있어 가장 앞선 국가로 중국을 꼽고 있다. 정부가 나서 5G 관련 투자에 2016~2020년 5000억 위안(약 82조원)을 투입한다. 5G 시범서비스는 올해 안으로 예정돼 있다. 14일 상하이증권보 등에 따르면 중국의 3대 통신사 가운데 하나인 차이나유니콤은 5G를 위해 연내 베이징에 300개의 기지국을 설치한다. 2020년까지 주요 도시에 상용화하는 게 목표다.

삼성전자는 15일 5G 필수 장비인 ‘멀티모드 모뎀’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한국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도적으로 나서 5G 상용화를 추진 중이다. 내년 3월 상용화를 목표로 지난 6월 이통 3사에 주파수 경매를 끝마쳤다. 정부가 ‘개시일’을 지정해 준 만큼 국내 사업자들의 발걸음이 빨라졌다. 삼성전자는 5G 스마트폰과 관련 통신장비를 내년 3월까지 내놓겠다는 청사진을 고동진 사장(IM부문장)과 김영기 사장(네트워크사업부장)이 밝혔다. 삼성전자는 15일엔 “5G 상용화를 위한 핵심 기술 중 하나인 멀티모드 모뎀을 업계 최초로 개발했다”고도 발표했다.
LG전자가 내년 상반기부터 5G 스마트폰을 공급한다는 사실을 알리는 스프린트의 홍보화면. [사진 각 사]
미국과 중국의 ‘5G 패권’ 다툼은 한국 기업에도 기회가 될 수 있다. 송명섭 하이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미국이 보안성 문제를 제기하면서 중국산 장비 도입을 막고 있어 북미와 유럽 시장에서 한국 제품의 시장점유율이 높아질 수 있는 가능성이 커졌다”고 말했다.

한국이 5G 시장의 진정한 승자가 되려면 ‘최초’라는 타이틀보다는 향후 산업 전반에 걸친 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익명을 요구한 업계 관계자는 “미국과 중국은 5G 최초 상용화 경쟁을 하고 있는 게 아니라 상용화된 이후의 서비스와 관련 산업에 대한 투자까지 큰 그림을 그리고 있다”고 말했다. 5G의 활용 범위가 단순한 이동통신이 아닌 자율주행이나 증강·가상현실(AR·VR), 홀로그램 등의 새 기술과 서비스인 만큼 관련 산업에 대한 전반적인 투자가 함께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김경진 기자 kjink@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