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황정민이야?" 피로감 호소하는 관객들, 그럼에도

김종성 입력 2018. 8. 14. 17:48 수정 2018. 8. 14. 20:2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천만 배우 황정민 둘러싼 말말말, 그러나 그의 연기 열정 만큼은..

[오마이뉴스 김종성 기자]

 영화 <공작> 포스터.
ⓒ CJ엔터테인먼트
'한국 영화에는 황정민밖에 없냐?' 또, 황정민이 해냈다! <공작>(감독 윤종빈·제작 영화사 월광)의 상승세가 무섭다. <신과 함께-인과 연>의 기세에 눌러 있던 <공작>은 개봉 6일 만에 박스 오피스 1위에 올랐다. 누적 관객은 232만 2644명. <공작>은 1990년대 중반 안기부가 주도했던 북파 공작의 민낯을 그린 첩보물이다. '흑금성'은 암호명인데, 안기부의 밀명을 받고 북핵의 실체를 파헤치기 위해 북한의 고위층과 접촉했던 스파이로 실존인물이다.

<공작>이 흥행에 시동을 걸면서 '한국영화에는 황정민밖에 없냐?'는 말이 다시 나오기 시작했다. 언뜻 칭찬처럼 들린다. 그만큼의 지분을 가지고 있거나 대표성을 지니고 있다는 말이니까. 그러나 저 말에는 노골적인 불만이 섞여 있다. '왜 이렇게 자주 나오느냐?'라는 불평, 실상 야유에 가깝다. 사실일까? 절반은 그렇다. 황정민의 필모그래피를 보면, 그가 쉼없이 일을 해왔다는 걸 알 수 있다. 2000년대 들어 황정민은 한 해도 쉬지 않았다.

황정민 피로감을 호소하는 관객들
 영화 <공작> 스틸 컷.
ⓒ CJ엔터테인먼트
이처럼 황정민이 꾸준히 작품에 참여하고 있는 건 맞지만, '영화판에 황정민밖에 없다'고 할 정도로 잦은 출연을 했다고 보긴 어렵다. 그보다 훨씬 다작을 한 배우들이 즐비하다. 게다가 황정민에게 <공작>은 <군함도> 이후 1년 만에 선보이는 신작이다. 그럼에도 대중들은 왜 '황정민 피로감'을 호소하는가? '또, 황정민이야?'라는 선입견이 생긴 건 2014년~2016년 무렵으로 짐작된다.

황정민은 2014년 겨울 개봉한 <국제시장>으로 천만 관객(14,262,766명)을 돌파하면서 명실공히 최고의 흥행배우로 확고히 자리잡았다. 그 후 찬란한 '황정민 전성시대'가 펼쳐지는데, 그는 2015년에 <베테랑>으로 또 한번 천만 관객(13,414,200명)을 돌파하는 기염을 토했다. 그리고 같은 해 <히말라야>(7,759,761명)도 흥행에 성공하며 관객들에게 황정민이라는 이름을 확실히 각인시켰다. 

주마가편이라고 했던가. 공교롭게도 2016년에는 그가 출연한 영화가 무려 3편이나 개봉했다. <검사외전>(9,707,581명)부터 <곡성>(6,879,989명), <아수라>(2,594,420명)까지 영화 관객의 입장에선 '또, 황정민이야?'라는 말이 나올 법 했다. 세 영화 중 가장 성적이 저조했던 게 250만 명의 <아수라>였던 점을 고려하면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영화관에서 황정민을 피해가는 건 불가능한 일이었다.

단순히 출연 빈도 때문이었을까? (솔직히 좀 심하긴 했다.) 그렇지만 '또, 황정민이야?'라는 볼멘소리의 원인이 단지 그것뿐일까? 어쩌면 트레이드 마크처럼 굳어진 '황정민표 연기(휴머니즘 혹은 눈물을 짜내는 신파)'에 대한 식상함이 존재했던 건 아닐까? 실제로 황정민에게는 연기톤이 매번 반복된다는 지적이 꼬리표처럼 따라다닌다. 익숙해지면 당연히 식상해지기 마련이다.

황정민표 연기의 문제? 그는 항상 변신했다
 영화 <공작>의 한 장면.
ⓒ CJ 엔터테인먼트
어쩌면 황정민은 좀 억울할지도 모르겠다. 애초에 개봉일은 배우가 선택할 수 있는 영역의
문제가 아닐 뿐더러 이른바 '황정민표 연기'도 <국제시장>과 <히말라야>를 제외하면 그다지 두드러지지 않았다. <군함도>의 경우, 부성애가 강조되는 신파적 요소가 있었으나 그가 연기한 이강옥은 일제에 의해 강제징용 당한 후 살아남기 위해 무슨 짓이든 하는 간사한 캐릭터로 입체적인 인물이었다.

<아수라>에서는 정경유착의 끝판왕인 악덕 시장인 박성배를 통해 악역의 진수를 선보였다. 소름이 돋는 살벌한 연기였다. 외지인인 무속인 일광을 연기했던 <곡성>에서 황정민은 실제로 접신을 한 듯한 놀라운 연기를 펼쳐 보였다. 황정민만이 할 수 있는 몰입도 높은 연기였다. 이처럼 황정민은 다양한 작품과 캐릭터를 통해 꾸준히 변신을 꾀했다. 그 작품들이 죄다 흥행했던 건 관객들의 인정이 있었기에 가능하지 않았을까?

<공작>의 황정민도 마찬가지다. 그는 실존인물인 북파 공작원 흑금성 박채서(극중 배역 이름은 박석영)를 연기했는데, 특유의 생동감 있는 인물 묘사를 통해 관객들에게 캐릭터(뿐만 아니라 이야기)를 빠르게 인지시킨다. <공작>은 정치적인 요소가 짙어 다소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는 영화이지만, 황정민이라는 '익숙함'이 관객과 영화의 거리감을 대폭 줄여 놓는다. 관객들은 무리없이 <공작>의 '공작' 속에 빠져들게 된다.

이상하게도 그가 연기하는 배역들은 놀라울 정도로 사실적으로 와닿는다. 그 현실감이야말로 황정민이라는 배우의 힘이라는 생각이 든다. 얼마나 다행스러운 일인가. 우리가 황정민이라는 배우를 가졌다는 사실 말이다. 씁쓸한 역사의 한 페이지를 짊어지고 1년 만에 돌아온 황정민, '한국영화에는 황정민밖에 없냐?'는 비난은 온당할까? 오히려 꾸준히 관객들을 찾아오는 그의 성실함을 칭찬해야 하지 않을까.

본업인 연기에 집중하기보다 광고를 찍는 데 급급한 'CF 배우'들에 비해 황정민의 행보는 얼마나 칭찬할 만한가? 오히려 연기에 대한 그의 열정을 격려하고 북돋아줘야 하지 않을까? 황정민이 앞으로도 계속해서 지금의 열정을 잃지 않길 바란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김종성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wanderingpoet.tistory.com)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