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PM10)가 심한 지역에 사는 사람은 폐 기능이 크게 떨어진다는 분석이 나왔다. 서울에 사는 사람은 상대적으로 미세먼지 농도가 낮은 제주사람보다 평균 폐활량이 3.48% 낮았다.
7일 국제학술지인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에 따르면 부산 동아의대 직업환경의학과 김병권 교수팀은 이런 내용의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
연구팀은 2007∼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서울과 제주의 19세 이상 830명을 대상으로 미세먼지 농도와 폐 기능의 연관성을 살폈다. 이 중 서울 거주자는 749명(남 340명, 여 409명), 제주 거주자는 81명(남 39명, 여 42명)이었다.
두 지역의 15년(1995∼2009년) 간 평균 미세먼지 농도는 서울이 64.87㎍/㎥로 제주의 40.80㎍/㎥보다 훨씬 높았다.
연구팀은 두 지역 참여자의 폐 기능 차이를 보기 위해 '노력성 폐활량'(FVC)과 '1초간 노력성 호기량'(FEV1) 등을 비교했다. FVC는 코를 막고 입으로 힘껏 숨을 들이마신 다음 한 번에 날숨을 토해내는 최대폐활량을 말한다. FEV1은 이때 첫 1초간 내쉰 날숨의 양이다.
이 결과 FVC 수치는 서울사람이 제주사람보다 평균 3.48% 낮았다.
이런 특징은 여성보다 남성에서 더 두드러졌다. 서울의 남성은 제주 남성에 견줘 FVC가 6.99%, FEV1은 5.11%가 각각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서울 사람의 폐 기능이 제주 사람보다 떨어진 것은 미세먼지에 장기간 노출되면서 발생하는 폐 염증과 손상 메커니즘 때문으로 분석했다. 폐 기능 자체가 나이가 들면서 천천히 약해지는 특징이 있는데, 여기에 미세먼지가 가속도를 붙게 했다는 것이다. 실제로 미세먼지 때문에 폐암 발생률이 증가했다는 연구 결과도 나온 바 있다.
특히 흡연자의 경우에는 호흡기 증상 유병률이 더 높고 FEV1의 연간 감소율이 더 큰 것으로 연구팀은 평가했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담배를 피우는 사람은 같은 양의 미세먼지에 노출돼도 폐 기능이 더 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는 성인의 폐 기능 저하에 대기오염과 흡연이 시너지효과를 내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김혜순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 상세
IT·과학
`서울사람이 제주사람보다 폐기능 안좋다`…미세먼지가 원인
- 입력 :
- 2018-08-07 14:12:41
- 수정 :
- 2018-08-07 14:36:36
#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인기뉴스
2025-04-16 02:09 기준
-
1
“고맙다 중국”...희토류 수출 중단에 웃는 국내 관련주
2025-04-14 22:02:52
-
2
김부선 “39세 청춘이 돈줄테니 만나자고…영화와 현실 구분 못하냐”
2025-04-15 11:03:59
-
3
오늘의 운세 2025년 4월 16일 水(음력 3월 19일)
2025-04-15 17:53:12
-
4
“남의 전쟁에 한국군 끌려간다고?”...일본이 제안했다는 ‘원 시어터’ 뭐길래
2025-04-15 10:31:55
-
5
“내 인생은 망했다, 너희는 탈조선해라”…이국종 교수, 작심발언 왜?
2025-04-15 09:07:34
-
6
[단독] 좁쌀만한 MLCC로 中 뚫은 삼성 … 이재용, 新중국전략 통했다
2025-04-15 17:57:42
-
7
‘박성광 아내’ 이솔이 “암투병 끝 사망? 가짜뉴스 어떡해야…”
2025-04-15 16:17:32
-
8
“솔직히 약간”…연타석 홈런 이정후 본 샌프란시스코 1선발이 한 말
2025-04-14 17:08:27
-
9
尹 경호처 단지 내 상가에 사무실 마련…6개월 렌탈, 월 임대료 1000만원 안팎
2025-04-15 17:30:44
-
10
“1년새 국민 90만명 사라졌다”...이 나라도 인구줄어 고민이라는데
2025-04-14 16:54:2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