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에 다급해진 정부, 원전 재가동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불볕더위로 연일 전기 사용량이 급증하자 정부는 미세 먼지를 많이 내뿜고 발전단가가 비싼 석탄과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를 풀가동하고 있다.
그런데도 전력 부족이 예상되자 정부는 원전을 추가 가동, 지난 3월 53%까지 떨어졌던 원전 이용률을 '전력수요 피크기'인 8월에는 80%까지 끌어올릴 방침이다.
전력 수요가 당초 예상치를 연일 넘어서자 정부는 원전 재가동을 서두르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불볕더위로 연일 전기 사용량이 급증하자 정부는 미세 먼지를 많이 내뿜고 발전단가가 비싼 석탄과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를 풀가동하고 있다. 그런데도 전력 부족이 예상되자 정부는 원전을 추가 가동, 지난 3월 53%까지 떨어졌던 원전 이용률을 '전력수요 피크기'인 8월에는 80%까지 끌어올릴 방침이다.
22일 전력거래소 자료에 따르면 지난주(16~20일) 석탄 발전은 총 61기 중 59기(97%), LNG 발전은 237기 중 230기(97%)가 가동됐다. 이 기간 원전은 24기 가운데 16기만 가동됐다. 현 정부의 탈(脫)원전 정책 추진 이전인 지난 2016년 7월 가동된 원전 수는 20기로 올해보다 4기가 많았다.
전력 수요가 당초 예상치를 연일 넘어서자 정부는 원전 재가동을 서두르고 있다. 한울 4호기는 최근 정비를 마치고 21일 가동을 시작했다. 한수원은 정비 중인 한빛 3호기와 한울 2호기의 재가동 일정을 전력 피크 기간(8월 2~3주차) 이전으로 앞당긴다. 한빛 1호기와 한울 1호기의 정비 시점도 8월 전력 수요 피크 기간 이후로 미룬다.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더본코리아 女 생산직 연봉 3200만원…男의 절반도 안돼
- 잘못 건드렸다가 화들짝… 공매도 세력, 정치테마株선 원금 절반 날릴 위기
- [비즈톡톡] HBM 살려야 하는데 ‘인력 충원’ 놓고 고민 깊어진 삼성 반도체
- “한국인 1인당 배달앱 지출 월 10만원 육박”
- [단독] BYD에 놀란 현대차, 배터리 자체 경쟁력 강화 조직 출범
- [단독] 서울시 “명일동 싱크홀 원인은 ‘터널공사’”
- [금융포커스] 상생금융1·2에 번외편까지… 은행 “정치권 압박 더 거세질까 걱정”
- ‘트럼프 관세’ 부담 지는 美 빅테크·유통업체… 삼성전자·SK하이닉스는 가격 정책 변동 없어
- 당 대표직 물러난 이재명 “이제 새로운 일 시작”
- [보험사 지배구조] 교보생명, ‘풋옵션 분쟁’에 경영승계 차질… 신창재 회장 지분 증여 세금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