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트체크] 백제 무왕 추정 인골은 왜 나무상자에 담겼나

2018. 7. 20. 11:3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익산 쌍릉(사적 제87호) 대왕릉의 주인이 백제 무왕(재위 600∼641)일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 결과가 나오면서 세간의 관심이 쏠렸다.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는 쌍릉 대왕릉에서 발견된 인골을 분석한 결과 '60대 전후 남성 노인, 키 160∼170.1㎝, 사망 시점 620∼659년'으로 추정된다고 지난 18일 발표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일제 강점기 발굴 후 상자에 담아 재매장.."나름 예의 갖춘 것"
"인골, 학술 가치에도 별도 관리 지침 없어..인식 바꿔야"
익산 쌍릉 대왕릉의 주인은? (서울=연합뉴스)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는 1917년 이후 한 세기 만에 다시 발굴한 익산 쌍릉 대왕릉(사진)에서 발견한 인골을 분석해 추정한 '60대 전후 남성 노인, 키 160∼170.1㎝, 사망 시점 620∼659년'이라는 결과를 18일 발표했다. 2018.7.18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제공=연합뉴스]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수진 기자 = 익산 쌍릉(사적 제87호) 대왕릉의 주인이 백제 무왕(재위 600∼641)일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 결과가 나오면서 세간의 관심이 쏠렸다.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는 쌍릉 대왕릉에서 발견된 인골을 분석한 결과 '60대 전후 남성 노인, 키 160∼170.1㎝, 사망 시점 620∼659년'으로 추정된다고 지난 18일 발표했다.

무덤의 구조와 규모뿐만 아니라 무왕을 '풍채가 훌륭하다'고 묘사한 삼국사기의 기록, 그리고 사망 시기 등을 볼 때 무왕의 인골로 볼 수 있다는 설명이다. 무왕은 출생 시점에 관한 기록이 없으나 재위 기간이 41년에 이르고, 620년∼659년 사이에 세상을 떠난 유일한 백제 임금이다.

특이한 점은 백제의 중흥을 이끈 걸출한 인물로 평가받는 무왕의 것으로 추정되는 이 인골이 가로·세로 각 26㎝, 높이 33㎝의 나무상자에 담겨 있었다는 것이다.

익산 쌍릉 대왕릉 내부에서 나온 인골 상자 (서울=연합뉴스)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가 1917년 이후 한 세기 만에 다시 발굴한 익산 쌍릉 대왕릉에서 발견한 인골을 분석해 추정한 '60대 전후 남성 노인, 키 160∼170.1㎝, 사망 시점 620∼659년'이라는 결과를 18일 발표했다. 연구소는 무덤 내부에서 나온 인골함(사진)을 근거로 대왕릉은 무왕 무덤일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2018.7.18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제공=연합뉴스] photo@yna.co.kr

학계에서는 일제 강점기 때인 1917년 쌍릉을 발굴한 조선총독부 고적조사위원회의 야쓰이 세이치(谷井濟一)가 관과 토기, 장신구, 치아 등을 수습한 뒤 인골을 모아 다시 봉안한 것으로 추정한다.

일본이 도굴이라해도 무방한 발굴을 하면서도 무덤의 주인에 대해 나름대로 예를 갖춘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인골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식되기 때문에 문화재 발굴현장에서도 드물게 출토된다. 이번에 쌍릉 대왕릉에서 발견된 인골은 그나마 상자에 담긴 것이 보존에 도움이 된 것으로 보인다.

1990년 동아대에서 양산 부부총을 발굴을 했을 때도 항아리에 담긴 인골이 발견됐는데, 이 역시 1920년 조선총독부 관리이자 고고학자였던 오가와 게이기치(小川敬吉)가 발굴 뒤 재매장한 것이었다.

차순철 서라벌문화재연구원 조사단장은 "당시 자료를 보면 일본인들이 인골을 함부로 대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으며, 발굴 뒤 위령제를 지내기도 했다"면서 "마을 사람들의 시선도 의식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일제 강점기 때 촬영된 대왕릉 석실 내 목관 및 토기 출토 상태 [출처 : 국립전주박물관 보고서]

특히 일본 역사학계에는 왕실의 뿌리가 백제에 닿아있다는 인식이 있는 만큼, 백제 관련 문화제에 대해서는 매우 조심스럽게 접근했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일본 간무(桓武) 천황(737∼806년)의 지시로 편찬된 '속일본기(續日本記)'에는 간무 천황의 생모가 백제 무령왕의 자손이라는 내용이 기술돼 있고, 아키히토(明仁) 일왕은 2001년 생일 기자회견 당시 이를 인용해 "한국과의 연(緣)을 느끼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또한 아키히토 일왕의 당숙인 아사카노미야(朝香宮)는 2004년 충남 공주시를 찾아 무령왕릉을 참배하기도 했다.

천마총 감리단 소속 박세웅씨는 "일본이 도굴에 가까운 발굴을 하면서도, 백제는 일왕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을 해서인지 나름대로 예우를 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1천400년만에 귀향한 백제 왕족 후손 (익산=연합뉴스) 임 청 기자 = 1천400년 전 일본으로 건너갔던 백제 성왕의 셋째 왕자인 임성태자의 45대 후손인 오오우치 기미오(69)씨와 오오우치 다카꼬(65) 부부가 17일 익산의 무왕릉(백제 무왕의 묘소로 추정되는 곳)에 참배하고 있다.2009. 4. 17 lc21@yna.co.kr

한편, 이번 일을 계기로 인골도 문화재로 보고 제대로 보존·관리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까지는 문화재 발굴현장에서 발견된 인골에 대한 별도 처리 지침이 없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학술 자료로 가치가 있다면 관련 연구자가 와서 인골을 수습해 가고, 그렇지 않으면 장사법에 따라 처리한다"고 말했다.

국내 인골 연구의 선구자인 김재현 동아대 고고미술사학과 교수는 "다른 유물에 비해 인골 연구에 대한 관심이 떨어지다 보니 관련 규정이 마련돼 있지 않다"고 안타까움을 표했다.

김 교수는 "이번 익산 쌍릉의 경우에도 우연히 인골이 남아있던 덕분에 여성으로 추정되던 것을 재검토할 수 있었다"면서 "고고학, 인류학, 민속학, 유전학적 자료로 가치가 있는 인골에 대해 인식을 재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쌍릉 인골 분석결과 (서울=연합뉴스) 이재희 기자 = 18일 오전 서울 종로구 고궁박물관에서 익산 쌍릉에서 발견된 인골 분석 결과 발표 기자간담회에서 이우영 카톨릭의과대 교수가 신장 추정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18.7.18 scape@yna.co.kr

gogogo@yna.co.kr

☞ 에쿠스 타고 도심에 현금 뭉치 뿌려…주워가면 처벌?
☞ "아파트 방화 고양이 체포…소방관 품에서 고개 떨궈"
☞ "싸게 팔 바엔 버린다"…버버리, 1천300억원치 소각
☞ 이총리 "북한, 백성생활 더 중시하는 지도자 출현"
☞ 박원순, 에어컨 없는 강북 옥탑방서 한달 산다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