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 본사는 오히려 성장..과다 경쟁 속 상생 방법은?

윤지연 2018. 7. 16. 21:2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이런 과다 경쟁 속에 편의점 업계가 살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지, 취재기자와 함께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경제부 윤지연 기자 나와있습니다.

거리마다 촘촘히 매장이 들어서면 점포 수익성이 나빠지는 건 당연한 거 아닙니까?

[기자]

KBS 본사가 있는 서울 여의도만 보더라도요.

주요 4개 브랜드 편의점을 합해 66개나 됩니다.

문제는 개별 점포의 수익 구조는 나빠지는 데도 편의점 본사의 매출은 오히려 늘고 있다는 건데요.

지난해 편의점 점포당 매출이 역신장 하는 동안 편의점 업계 전체 매출은 10% 넘는 성장을 했습니다.

대형마트나 백화점을 압도하며 유통업계 성장을 이끌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닙니다.

[앵커]

편의점주는 힘들다는데 본사 매출은 도리어 성장했다면, 도대체 계약을 어떻게 맺었기에 이런 겁니까?

[기자]

편의점주와 본사와의 이익 배분은 일반 프랜차이즈 업계에 비해서는 비교적 단순한 구조인데요.

계약 방식에 따라 차이가 있긴 하지만 보통 매출액의 30~35% 정도를 본사가 가져간다고 보시면 됩니다.

정률제인 셈인데, 이렇게 되면 본사 입장에서는 많은 점포 수로 경쟁업체를 압도하는 게 수익에 도움이 되죠.

또 점포가 많아지면 납품업체에서 일괄 구매하는 물량이 커지면서, 가격 협상이 유리해지는 등 여러가지 면에서 점포가 많을 수록 좋습니다.

결국 본사는 개별 점주들의 이익을 높이는 것보다 이른바 공격적 출점에 나서서 점포수를 늘리는 게 이익 창출에 유리한 거죠.

[앵커]

편의점은 매출에서 정률로 이익을 본사에 떼주고 임대료나 각종 수수료를 또 본사에 지불하는데, 이러면 최저임금 타격은 결국 점주만 받는 게 되겠군요?

[기자]

맞습니다.

처음 계약 당시와는 시장 상황이 변하고 있고, 본사의 공격적인 출점 때문에 편의점들끼리 제살을 깎아먹으면서 매출을 악화시키는데도 본사는 별 책임을 지지 않는거죠.

이렇게 때문에 본사에 내는 가맹수수료를 낮춰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습니다.

[앵커]

본사가 가져가는 돈을 낮추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이겠죠?

현실성이 있습니까?

[기자]

수수료 인하 요인을 찾아 이를 실현하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겠고요.

수수료 인하 외에도 다른 방법도 함께 찾아야 할 텐데요.

신규 점포 축소가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편의점 업계에서는 상생지원금 등의 대책도 내놓고 있습니다.

[앵커]

지금은 이른바 '을'들끼리 다투는 상황인데 이걸 막기 위해서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할텐데요.

[기자]

인건비 비중 40% 가 넘는 상황에서 최저임금이 오르면 점주들이 타격을 받는 건 사실입니다.

다만 최저임금은 예전에도 계속 올라왔지만 이같은 반발이 없었던 건 한마디로 그걸 부담할 만큼 장사가 됐기 때문인데요.

결국 수익성 악화가 최저임금 문제로 불거졌다는 건데 대표적인 게 높은 임대료일 겁니다.

하지만 해결 실마리가 될 임대차보호법 개정안은 벌써 몇 년 동안 국회에서 처리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또 대형마트의 세 배 수준인 카드 수수료를 낮추는 것도 최저임금 부담을 완화시켜 주는 방법이 되겠는데요.

오늘(16일)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이 최저임금 부담을 줄여주겠다며 가맹본부에 대한 점검을 나서겠다고 밝히기도 했는데 이같은 정책적 지원이 뒷받침 되는 것도 중요해 보입니다.

윤지연기자 (aeon@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