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대흥동 이어 어은동·중촌동도…대전, 젠트리피케이션 우려↑



대전

    대흥동 이어 어은동·중촌동도…대전, 젠트리피케이션 우려↑

     

    “도시재생 사업으로 인해 오히려 도시재생이 더 안 되고 있어요. 대전 대흥동은 이미 돌이키기 어려운 상태고 어은동도 조짐이 보이고 있어요. 최근 도시재생 지구로 선정된 중촌동이나 가오동, 신탄진 지역도 추진 계획 단계에서부터 이에 대한 깊은 고민이 필요해요”

    ◇도시재생의 부작용 ‘젠트리피케이션’

    대전의 젠트리피케이션(둥지내몰림)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대전의 대표적 원도심이면서 문화예술거리로 각광받던 대흥동의 예술인들이 쫓겨나고 있다.

    여행과 축구를 테마로 지난 8년여 동안 전국의 도시여행자들로부터 인기를 끌며 대흥동을 지켜왔던 한 카페가 얼마 전 퇴거 통보를 받았다. 치솟은 월세를 감당하지 못하면 올 가을쯤에는 자리를 옮길 수밖에 없다.

    앞서 지난 2016년에는 대흥동 문화의 중심축으로 평가받았던 프랑스문화원 대흥동 분원이 역시 젠트리피케이션으로 인해 떠나야 했다.

    아기자기 저마다 특색을 자랑하던 카페나 상점들이 있던 거리에는 프랜차이즈만 남아 있다.

    대흥동에 둥지를 틀고 있는 청년 네트워크 혁신청의 김영진 사무국장은 “최근 몇 년 사이 월세가 몇 배 이상 폭등하면서 대부분 문화 활동가와 지역민들이 퇴거 통보를 당하고 있다”며 “도시 재생이 목적인데, 정작 도지 재생의 주체들은 하나도 남지 않게 될 것”이라고 걱정했다.

    ◇부작용의 확산

    문제는 이 같은 둥지내몰림 현상이 대흥동에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

    유성구 어은동을 비롯해 동구 가오동과 중구 중촌동, 대덕구 신탄진동 등 도시재생 뉴딜 사업 지구로 선정된 곳에서 비슷한 현상이 우려되고 있다. 어은동의 경우는 이미 임대료 인상 등의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사업 계획 단계부터 둥지내몰림 현상을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설득력을 얻고 있다. 공공 유휴공간의 재활용은 물론 일부 건물의 시민 자산화 등에 보다 많은 관심을 쏟아야 한다는 것.

    ◇공공 매입 & 시민자산화 ‘주목’

    전문가들은 도시재생 지구 곳곳의 주요 건물을 공공기관이 매입해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공공이 소유한 건물의 임대료를 낮추는 방법으로 천정부지로 치솟는 주변 상가 임대료를 낮추는 방식이다.

    대전시가 오랜 기간 비어있던 옛 중앙동 주민센터를 매입·위탁해 청년 공유 공간인 ‘청춘다락’으로 활용하고 있는데, 공공건물 매입이라는 점에서 성격은 다소 다르지만 문제 해결을 위한 공공의 역할 차원에서 검토할 필요는 있어 보인다.

    혁신청 김영진 사무국장은 건물 매입의 주체가 활동하는 시민이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시민자산화. 땅이나 건물을 시민들이 공동 소유해 사회적으로 의미있게 쓰이도록 하자는 운동인데, 김 국장은 매입금의 일부를 장기 저리로 대출해주는 최근의 정부 정책을 반긴다.

    김 국장은 “매입 자금을 저리로 장기 대출해주는 정책이 이제 막 시작 단계에 있다”며 “좀 더 보완해 현장에서 필요한 도시재생 정책을 구축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젠트리피케이션은 시작되면 돌이킬 수 없다”며 “사업 첫 단계부터 (대전시 등이) 이에 대해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