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벌 총수는 거액 연봉..'오너리스크'는 주주몫?

박대기 2018. 7. 8. 21:2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재벌 총수들의 잘못된 경영이나 실수로 인한 위험을 '오너리스크'라고 하죠.

특히 총수 일가 중심으로 돌아가는 우리나라 기업들에 잘 쓰이는 말인데요.

그럴때마다 피해를 보는건 소액주주들과 직원들이고, 총수일가의 고액 연봉은 여전합니다.

박대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잇따른 불법행위 혐의로 본인과 가족들이 수사를 받고 있는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

조 회장의 지난해 연봉은 66억 원으로 국내 대기업 경영자 가운데 8번째로 많습니다.

올해 2월 구속된 신동빈 롯데 회장은 지난해 훨씬 많은 152억 원을 받아 2위를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대기업 경영자 연봉을 조사한 결과 상위 10명 가운데 6명이 이렇게 대기업 총수였습니다.

연봉 상위 10명에 총수 일가가 한 명도 없는 일본이나 단 2명만 들어가 있는 미국과는 대조적입니다.

[박주근/CEO스코어 대표 : "전문경영인에게 힘을 실어주기 보다는 총수 중심으로 대기업들이 경영을 하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이렇게 총수 중심 경영 체제가 견고하다보니 이른바 '오너 리스크'가 발생하면 여파가 클 수밖에 없습니다.

대한항공만 해도 이른바 '물벼락 갑질' 이후 주가가 20% 넘게 떨어져 시가총액만 단순 계산해보더라도 7,500억 원이 빠졌습니다.

여기에 한진칼과 진에어 주가도 20% 넘게 빠졌습니다.

총수 일가의 문제가 그룹 전체로 번지면서 결국 소액주주들을 비롯한 투자자들과 직원들이 피해를 보고 있는 겁니다.

[최고운/한국투자증권 수석연구원 : "오너 일가 리스크는 단기적으로 끝날 이슈라기보다는 지배구조가 바뀔수도 있는 사건으로 (시장이) 보고 있어서…."]

'기내식 대란'이 빚어진 아시아나항공의 소액 주주들은 곧 주주대표소송을 낼 예정입니다.

박삼구 회장 측이 그룹 지원을 위해 기내식 납품업체를 변경해 문제가 생겼다며 책임을 묻겠다는겁니다.

직원 갑질 논란까지 일고 있는 박 회장은 지난해 14억 원을 연봉으로 받았습니다.

KBS 뉴스 박대기입니다.

박대기기자 (waiting@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