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일염에서 66도까지 견디는 '신종 미생물' 발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천일염에서 66℃까지 견디는 신종 미생물을 발견했다.
세계김치연구소는 노성운 박사 연구팀이 김치의 주요 원료 중 하나인 천일염에서 열과 염분 모두에 잘 견디는 신종 미생물인 극호열성·극호염성 '고균'을 찾았다고 5일 밝혔다.
연구진은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을 이용한 유전체 분석으로 이번에 찾아낸 고균이 호염성 고균 중에서 세 번째로 큰 유전체 크기를 가진다는 사실도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스1) 최소망 기자 = 국내 연구진이 천일염에서 66℃까지 견디는 신종 미생물을 발견했다.
세계김치연구소는 노성운 박사 연구팀이 김치의 주요 원료 중 하나인 천일염에서 열과 염분 모두에 잘 견디는 신종 미생물인 극호열성·극호염성 '고균'을 찾았다고 5일 밝혔다.
고균은 진화 초기 단계의 미생물로 세균과 같이 핵이 없는 원핵생물이다. 보통 극한 환경에서도 잘 서식한다. 그 중에서도 극호염성 고균은 특히 염분을 잘 견디는, 극호열성 고균은 열을 잘 견디는 특성이 있다.
연구진이 발견한 고균(나트리네마 속 CBA1119T)은 66℃에서도 생존과 증식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고균은 35~45℃에서 잘 자라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번에 발견된 고균은 이를 넘어선 환경에서도 잘 자랐다. 또 천일염에서 새로 확인된 고균인만큼 염분에도 강하다. 소금 농도가 20% 이상인 고염 환경에서도 생존이 가능했다.
연구진은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을 이용한 유전체 분석으로 이번에 찾아낸 고균이 호염성 고균 중에서 세 번째로 큰 유전체 크기를 가진다는 사실도 밝혔다. 새로운 고균의 유전체 정보는 산업적 가치가 높은 극한 미생물의 유전자를 해독하고 극한 환경에서 어떻게 적응하는 지를 분석하는 데 단서로 사용될 것으로 연구진은 기대하고 있다.
하재호 세계김치연구소장은 "이번 연구는 고염과 고온이란 극한 환경에서도 생존과 증식이 가능해 산업적 활용 가치가 매우 높은 미생물 소재를 새로 찾아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 5월호에 실렸다.
somangchoi@news1.kr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