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은 우리의 모습을 비추는 거울이다”
  • 조철 문화 칼럼니스트 (sisa@sisajournal.com)
  • 승인 2018.06.29 10:55
  • 호수 1498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어디서 살 것인가》 펴낸 건축가 유현준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라는 책을 펴내 도시와 공간을 바라보는 새로운 눈을 제시했다는 평을 받은 건축가 유현준씨가 또 하나의 고민을 풀어냈다. 신간 《어디서 살 것인가》를 통해서다. 보통사람들에게는 내 집 하나 마련하는 것이 먼 일이 되고 있는 요즘, ‘어디서 살 것인가’라는 고민은 우리를 힘겹게 하는 질문일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어디서 살 것인가》에서 말하는 ‘어디서’는 ‘어떤 공간이 우리를 행복하게 만드는가’라는 자문의 의미를 담고 있다. 

 

“우리가 차를 선택할 때 외관 디자인이나 브랜드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는 것이 그 자동차를 누구와 함께 타고, 어디에 가느냐이듯이 우리가 사는 곳도 마찬가지다. 우리가 서로 얼굴을 맞대고 대화하며 서로의 색깔을 나눌 수 있는 곳, 우리가 원하는 삶의 방향에 부합하는 도시로 변화를 이야기해야 한다.”

 

유현준 지음 | 을유문화사 펴냄 | 380쪽 | 1만6000원​​ © 을유문화사 제공


 

일례로 우리나라 학교 건물은 보통 한 사람 몸 크기의 580배 정도 된다. 이런 건물은 너무 커서 우리 아이들이 정을 붙이기 어렵다. 일종의 ‘시설’로 느껴지기 마련이다. 대부분의 인격 형성이 이루어지는 중요한 시기에 아이들은 이런 시설에서 지내고 있는 것이 문제라고 저자는 우선 지적한다. 

 

“몇십 년 동안 한결같이 상자 모양의 4~5층짜리 건물과 대형 운동장을 유지하고 있는 우리 학교의 건축은 인격이 형성되는 시기의 아이들이 생활하기에는 너무나 획일적이고 거대하다. 한국에서 이런 구조로 된 대표적인 건축물은 교도소와 학교 둘뿐이다. 둘 다 운동장 하나에 4~5층짜리 건물과 담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창문 크기를 빼고는 공간 구성상의 차이를 찾기 힘들다.”

 

통계를 보면 지난 40년간 학생 1인당 사용하는 실내 면적은 7배 늘었는데, 학생들의 삶의 질은 나아지지 않았다. 각종 특별활동실, 체육관, 식당, 강당, 도서관 같은 내부 시설은 늘어났지만, 자연과 접할 수 있는 기회는 오히려 없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유씨는 아이들의 다양한 취향과 결이 사라지지 않고 창의성이 빛날 수 있도록 학교 건물은 더 작은 규모로 나누어져야 하며, 그 앞에는 다양한 모습으로 놀 수 있는 갖가지 모양의 작은 마당과 외부 공간이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건축이 만드는 사회, 사회가 만드는 건축

 

《어디서 살 것인가》에서 보여주는 유씨의 통찰은 자유로운 공간을 닮았다. 그는 다채로운 시공간을 넘나들며 사람 사는 곳의 모습을 예리하게 들여다본다. 

 

“1인 주거는 여러 가지 사회·경제적인 이유로 피할 수 없는 대세가 돼 가고 있다. 이런 환경 속에서 우리 삶의 질이 떨어지지 않고 더 행복해지려면 도시 전체를 내 집처럼 즐길 수 있어야 한다. 보행자 중심의 네트워크가 완성되고 촘촘하게 분포된 매력적인 ‘공짜’ 공간이 많아지는 것이 건축적인 해답이 될 수 있다.”

 

다루는 주제도 다양하다. 중심도 없고 경계도 모호한 특성을 보여주는 현대 건축들, 밥상머리에 둘러앉아 함께 밥을 먹으며 이야기하듯이 동료들끼리 활발한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사옥 형태인 ‘밥상머리 사옥’, 대형 쇼핑몰에는 항상 멀티플렉스 극장이 있는 이유, 힙합 가수가 후드티를 입는 것과 사적 공간에 대한 갈증이 어떻게 연결되는지, 대형화와 고층화가 대세인 도시에서 사람 중심의 공간인 골목길을 지킨다는 게 과연 가능한 일인지, 그리고 숨 가쁜 도심에서 벗어나 생각에 잠길 수 있는 대교 아래 공간 이야기까지.

 

“우리가 한창 성장하고 발전할 때는 다리를 건설했다. 서울이 강남으로 확장됐고, 수도권의 한강에는 총 31개의 다리가 건설됐다. 이 모든 건설은 우리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눈부신 경제성장을 하던 시기에 만들어진 결과다. 다리는 건축에서 나누어진 공간을 연결하는 건축 요소다. 다리를 짓는다는 것은 이웃과 소통을 하겠다는 의지의 표명이다. 하지만 우리는 최근 안타깝게도 다리를 건설하기보다는 벽을 더 세우고 있다. 이러한 벽을 세우고 성을 만드는 것은 소통을 막는 것이고, 이는 곧 갈등의 씨앗이 된다는 것이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