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혐 없어질 때까지 첫째주 일요일마다 불매운동"

윤신원 2018. 6. 22. 11:1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7월1일을 시작으로 매월 첫째 수 일요일마다 소비를 줄이는 '여성소비총파업'이 논의되고 있다.

여성소비총파업은 그 동안 일부 기업 광고에서 여혐과 코르셋이 만연했던 점을 문제 삼고, 여성소비자로서의 영향력을 드러내자는 취지로 시작됐다.

여성소비총파업 공식 트위터에 따르면 매월 첫 번째 일요일에는 문화생활, 외식, 쇼핑 등 모든 소비와 지출을 중단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여혐·코르셋 조장 기업 보이콧..'여성소비자 가치 재확인' 목적
[사진=여성소비총파업 공식 인스타그램]

[아시아경제 윤신원 기자] 최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7월1일을 시작으로 매월 첫째 수 일요일마다 소비를 줄이는 ‘여성소비총파업’이 논의되고 있다. 여혐(여성 혐오)이나 코르셋을 조장하는 기업에 대한 보이콧은 물론, 필요한 소비(교통비, 식비)를 제외한 모든 소비를 중단함으로서 기업에 여성소비자의 가치를 재확인시키기 위한 일종의 여성운동이다.

여성소비총파업은 그 동안 일부 기업 광고에서 여혐과 코르셋이 만연했던 점을 문제 삼고, 여성소비자로서의 영향력을 드러내자는 취지로 시작됐다.

보건복지부 피임 포스터 / 스마트폰 앱(App) 스노우 카메라 광고

실제로 여성 모델을 내세워 ‘X같은 피부도 예쁘게’, ‘다 맡기더라도 피임까지 맡기진 마세요’ 등의 문구를 사용한다거나 ‘지루했던 남친은 군대로, 나는 어장관리 홍대로’, ‘날은 더워 죽겠는데 남친은 차가 없네’ 등의 문구는 여성 혐오를 조장한다는 지탄을 받았다.

여성소비총파업 공식 트위터에 따르면 매월 첫 번째 일요일에는 문화생활, 외식, 쇼핑 등 모든 소비와 지출을 중단한다. 대신 매월 첫 번째 토요일에는 ‘세계 여성의 날’을 기념하는 ‘38적금’을 시작한다. ‘세계 여성의 날’인 3월8일을 기념해 3800원, 3만8000원 등 적금을 붓는 방식이다. 여성운동인 만큼 여성임원 비율이 높은 은행과 여성 채용비율이 높은 은행 등도 추천하고 있다.

이 운동에 동참하는 여성들의 궁극적인 목표는 ‘전반적인 여권 향상’이다. 아이슬란드를 전 세계에서 가장 성평등한 나라가 된 사건인 ‘여성총파업’을 모티브로 하고 있다.

1975년 10월24일 아이슬란드 여성총파업 당시 레이캬비크 스퀘어에서 열린 집회 [출처=fjallkonan.is]

지난 1975년 10월24일, 아이슬란드 여성들은 하루 동안 일과 가사노동을 전면 거부했다. 대부분의 교사가 여성이었기 때문에 보육원과 학교가 휴교했고, 슈퍼마켓과 공장들은 휴업해야 했다. 여배우들이 출연을 거부해 공연이 취소됐고, 승무원들이 출근하지 않아 항공 운항도 대거 취소됐다. 은행에는 남성 임원들이 나와 창구업무를 봐야 했다. 당시 아이슬란드 여성의 90%가 총파업에 참여했고, 레이캬비크 스퀘어에서 열린 집회에는 2만5000여 명의 여성이 참가했다.

이 사건은 아이슬란드 경제와 사회에 여성이 공헌하는 바가 얼마나 큰지 남성들에게 체감시켰다. 아이를 가진 아버지들은 직장에 아이를 데리고 출근했고, 퇴근 후의 육아도 모두 남성들의 몫이었다. 아이슬란드 남성들은 그 날을 ‘길었던 금요일(Long Friday)’이라고 기억한다.

그리고 이듬해인 1976년 남녀 고용평등법이 의회를 통과했고, 1980년에는 유럽 최초로 여성 대통령이 탄생했다.

이번 여성소비총파업에 동참 의사를 밝힌 20대 A씨는 “여혐이 없어지는 날까지 매월 소비총파업에 동참할 예정”이라며 “아이슬란드처럼 드라마틱한 변화가 있을 거란 생각은 하지 않는다. 다만 여성들을 대하는 기업들의 태도가 바뀌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20대 B씨는 “여성이 주도한 운동이지만 남성과 대립을 조장하자는 의미는 분명 아닐 것”이라며 “잘못된 사회적 인식과 방향을 바꾸고 싶은 모든 남성과 성소수자들도 동참해 ‘인권운동’으로 확대되길 바란다”고 했다.

윤신원 기자 i_dentity@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