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月 하루만 쉬는 치킨집 부부의 시급은 5570원

김충령 기자 2018. 6. 22. 05:5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月 하루만 쉬는 치킨집 부부의 시급은 5570원

"최저임금을 더 올린다고요? 지금 상태로도 길거리 나가 시위 벌이고 싶은 심정입니다." 지난 14일 서울 종로구 주택가의 한 프랜차이즈 치킨집.

점주 김모(59)씨는 지난해와 올 상반기 매출을 비교하다 분통을 터트렸다.

김씨 점포의 올 상반기 월평균 매출은 4200만원으로 지난해보다 300만원 감소했다.

음성재생 설정 이동통신망에서 음성 재생 시 별도의 데이터 요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성별
말하기 속도
번역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자영업의 눈물] 알바보다 힘든 자영업 현장

"최저임금을 더 올린다고요? 지금 상태로도 길거리 나가 시위 벌이고 싶은 심정입니다." 지난 14일 서울 종로구 주택가의 한 프랜차이즈 치킨집. 점주 김모(59)씨는 지난해와 올 상반기 매출을 비교하다 분통을 터트렸다.

김씨는 "정부가 우리 자영업자들 사정을 몰라도 너무 모른다"며 장부를 내밀었다. 올해 김씨 점포의 월 순수익은 420만원으로 지난해(595만원)에 비해 30% 줄었다.

그는 "부부가 한 달에 딱 하루 쉬면서 13시간씩 일한 결과가 이렇다. 우리 부부의 시급은 5570원"이라며 "이 장사를 계속하는 것이 맞느냐"고 반문했다. 올해 최저임금은 시간당 7530원이다.

김씨 점포의 올 상반기 월평균 매출은 4200만원으로 지난해보다 300만원 감소했다. 치킨 가격이 2만원대로 오르면서 주머니 사정이 나빠진 소비자들이 선뜻 주문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상당수 점포에선 가격을 올리는 대신 별도의 배달료를 받고 있는 실정이다.

매출이 떨어지면서 닭고기와 식용유 등 재료비는 소폭 줄었다. 부가세와 종합소득세, 기타 부대 비용은 지난해와 같았다. 그는 직원 인건비가 적힌 부분을 가리키며 가슴을 쳤다. 지난해 180만원과 120만원 하던 배달원과 주방 보조 인건비가 각각 210만원과 140만원으로 뛰었다.

김씨는 "이달부터는 이들의 급여를 20만원 올려주기로 했다"며 "최저임금보다 훨씬 많이 주고 있지만 '최저임금 인상분만큼 올려주지 않으면 나가겠다'고 해서 올려줄 수밖에 없었다"고 했다.

배달원 아르바이트생 시급(時給)은 1만500원이 됐다.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검색폼